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KTD전화번호부 '광고 효과' 전무… 개인정보만 노출
상태바
KTD전화번호부 '광고 효과' 전무… 개인정보만 노출
  • 백진주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1.07 07:25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 때는 적은 비용으로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던 ‘전화번호부 광고’가 배포 등의 사후관리 소홀로 광고효과는 없이 오히려 광고주의 개인정보만 노출해 엉뚱한 피해를 불러 오고 있다.


수맥관련업을 하던 심 모씨(창원시 명서동)는 2006년 7월 부터 2년간 KTD전화번호부에 년 35만원(총 70만원)의 광고비를 지불하고 창원 마산 김해지역 광고를 신청했다.

광고 반응이 없어  확인해본 결과 자신의 집은 물론 이웃들에게도 전화번호부가 전혀 배포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2년간의 광고게재로 헛돈만  날렸다고 생각한 심씨는 더 이상 광고를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그 이후부터 시작된 폭력수준의 광고 권유 전화들.


두 달 전부터 유사 전화번호부 회사에서 이틀에 한번 꼴로 광고를 실으라고 성화를 해댔다.

“작년 문구대로 광고를 계속해 드릴까요?”라며 접근하고 있으나 알고 보니 심씨가 당초 광고를 게재했던 KTD와는 전혀 상관없는 유사 광고업체들이었다. 몇 번이나 강하게 전화 차단을 요청해도 이들은 꿈쩍않고 끊임없이 전화를 해대  업무를 볼수없는 지경이었다.


통화시마다 더 이상 전화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 하지만 그때 뿐이었다. 결국 심씨는 업체를 사이버 수사대에 고발까지 했다.


“ 광고비는 내 판단착오로 인한 손실이라 생각하고 넘기려 했는데... 개인정보 노출로 이같은  전화 테러에 시달리는 것이 70만원 손해본 것보다 더 심각한 정신적 피해를 주고 있다"며 심씨는 분통을 터트렸다.


이에대해 KTD전화번호부의 관계자는 “전화번호부 광고는 이미 지역별 개별 사업화 운영되고 있어 본사차원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인터넷이 발전하면서 번호부 보유율에 비해 이용률이 현저히 낮아 무차별배포에서 보유희망자 중심으로 배포중이고 ‘CD롬 전화번호부’(판매가 10만원)도 유상으로 배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최근엔 유사 전화번호부업체의 전화 사기행각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요금 합산 금지 제도’등을 이용해 뜻밖의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qq 2008-01-25 15:03:09
qq
qq

qq 2008-01-25 15:03:11
qq
qq

qq 2008-01-25 15:20:55
KTD전화번호부관계자,지역별개별사업화운영으로본사차원관리가 어렵다는거짓말!
KTD자체적으로 수익성 악화를 피하기위해 배포량을 대폭 줄이고있고(찾는 사람도 거의 없는데 책도 배포가 안되니 광고효과는 당연히 없겠죠!)
또한TM센터를 통한 영업을 늘리면서 현실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유사전화번호부라고 회피하기 일수입니다.배포량을 줄이면 광고비가 싸져야하는거 아니가요?(몇권배포하는지 알고있는 광고주는 아마없을겁니다ㅋㅋ)KTD전화번호광고 속지맙시다!다른유사전화번호처럼KT와는 전혀다른회사랍니다.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