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위는 또 미국산 쇠고기 검역을 미국 현지에서 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라고 농림부에 지시했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농림부로부터 이같은 내용의 보고를 받았다. 인수위는 식품산업 업무를 농림부 소관사항에 포함하는 것을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명박 당선인이 대선과정에서 식품산업 업무를 농림부로 일원화해 부처 명칭을 `농업농촌식품부'로 바꾸고 식품산업 업무를 대폭 강화하겠다는 공약을 밝힌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 당선인은 현재 농산물과 축산물, 수산물 등에 따라 각각 다른 법령이 적용되고 있는 식품안전관리체계를 일원화하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이동관 대변인은 "식품산업을 일관성 있게 농림부에서 관장하는 공감대는 있지만 식품안전관리 문제 등은 민감한 문제이기 때문에 농림부가 맡는 것에 대해 논란이 있다"며 "수산물 문제도 마찬가지로 정부조직개편 방향을 예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식품에 관련된 모든 업무는 한곳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식품의 중요한 요소가 농산물임을 감안할때 농업을 이해하고 규제와 육성을 겸할 수 있는 농림부가 가장 적합한 기관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식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지의 안전관리 및 산업육성을 위한 모든 업무를 담당하는 통일된 기관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고있다.
이제는 우리도 선진관리를 위한 통일된 기관이 필요하다. 이는 농림부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