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롯데우유 회장 일가 시세차익 얼마일까?
상태바
롯데우유 회장 일가 시세차익 얼마일까?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1.18 1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의 대표 소주업체인 대선주조의 경영권 다툼에 끼어들어 절대지분을 확보했던 신준호 롯데우유 회장이 불과 3년여만에 지분을 전량매각할 경우 챙길 수 있는 시세차익은 얼마나 될까?
   2002년 부산소주시장의 맹주인 대선주조㈜는 경영 부실에 따른 위기와 함께 부산.경남권 소주시장을 놓고 경쟁중이던 경남소주업체인 ㈜무학의 인수합병(M&A)공세에 시달렸다.

   주식공개매수까지 선언하며 적대적 M&A에 나선 무학의 공세에 경영권을 고스란히 넘겨줄 위기의 순간에 '구원투수'로 나선 이가 당시 롯데햄.우유 부회장이자 대선주조 원 사주였던 최모 전 사장과 사돈지간인 신준호 현 롯데우유 회장이다.

   회사 부실화에 대한 책임으로 최 전 사장이 주식포기각서를 제출하고 주식을 처분했지만 신 회장은 2004년 6월께 최 전 사장의 처분주식을 매입했던 대선주조 측 우호지분 51%를 몽땅 되사들여 무학의 공세를 저지하는데 성공했다.

   당시 신 회장이 확보한 주식수는 총주식 66만6천469주의 51%에 해당하는 33만8천509주. 여기에는 주당 5만5천원, 모두 187억1천700여만원이 투입됐다.

   신 회장은 지분위장매매를 주장하는 무학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등 무학과 1년여에 걸친 지분경쟁을 벌이다 결국 2005년 6월 무학의 항복을 받고 무학 지분 31만8천691주마저 주당 4만원, 127억4천700여만원에 자신과 가족명의로 인수해 적대적 M&A시도를 막아냈다.

   대선주조의 총 주식수는 한차례의 유상증자와 감자를 실시한 끝에 지난해 4월 현재 80만주. 신 회장과 그 일가 보유분은 98.97%에 달하는 79만1천738주로 절대지분이다.

   국세청 및 세무전문가들에 따르면 신 회장이 절대지분을 확보하는데 들인 돈은 64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그럼 신 회장이 3년여만에 지분을 매각하고 챙길 수 있는 차익은 얼마나 될까.

   1997년 부도에 이어 2001년과 2002년 연속 자본잠식에 빠질 만큼 부실했던 대선주조는 경영권 분쟁에도 불구하고 연간매출액 1천200억원대(2006년 기준)에 영업이익 200억~300억원대의 견실한 기업으로 정상화됐다.

   부산의 모 증권사 관계자는 '현재 서울 M&A업계에서 나돌고 있다는 3천500억원대(주당 45만원) 거래설은 무리일 수도 있지만 매출신장세, 지역에서의 시장지배력, 성장 가능성, 자산가치 등을 면밀히 따진다면 그에 근접하는 수준이 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모 맥주업체가 소주시장 점유율 50%대의 모 업체를 인수하는데 3조2천억원을 제시했던 사례와 단순 비교해 전국 점유율 8~9%대의 흑자기업인 대선주조가 최소 2천억~3천억원대의 가치는 있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기업가치를 최소 2천억원으로 잡고 세금 등을 감안하더라도 신 회장의 시세차익은 수백억원대 이상에 달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대선주조 측은 "신 회장의 지분매각설만 있을 뿐 현재 확인되는 건 아무것도 없다"고 밝히고 있지만 지분매각설과 막대한 시세차익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향토기업에 대한 부산시민들의 무조건적 애정에 힘입어 겨우 정상화를 이룩한 대선주조의 향후 경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