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년간 이른바 사(士)자(字) 돌림으로 불리는 전문직 종사자의 수가 급격히 늘어난 한편으로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단순노무직 수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전문직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모두 늘어나는 가운데 저소득층에서는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단순노동자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경제적 양극화가 직업군(群)에서도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체 직업군을 10개 대분류로 나누었을 때 의사, 변호사, 회계사 등 각종 사자 돌림 직종이 속하는 전문가 군의 경우 지난 2002년 157만7천명이던 것이 2007년 203만2천명으로 5년만에 45만5천명, 28.9%나 증가했다.
이 직군에는 약사, 대학교수, 디자이너 등도 포함되며 전체 직업군 가운데 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직군을 제외하면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기간 전체 취업자수가 2천216만9천명에서 2천343만3천명으로 126만4천명(5.7%) 늘어나는데 그친 것과 비교하면 전문직 종사자의 증가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소득수준이 비교적 높은 기계공학 종사자나 컴퓨터 조작자, 의료장비.방송장비 기술자 등이 포함되는 기술공 및 준전문가 직업군도 2002년 211만5천명에서 2007년 260만9천명으로 23.4%나 증가했다.
사무종사자의 경우 2002년 282만2천명에서 330만9천명으로 48만7천명, 17.2%가 늘어 증가율이 높은 편이었다.
한편 소득수준이 10개 직업군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되는 단순노무종사자수도 2002년 225만5천명에서 2007년 272만5천명으로 5년간 47만명, 20.8%나 늘어 증가율이 전체 평균의 3.6배를 넘었다.
이 직업군에는 건설현장 잡역부, 파출부, 환경미화원, 경비원, 배달원, 농림 분야 단순인력 등이 모두 포함된다.
산업전반의 기계화가 진행돼 인간의 단순노동 수요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노동자 수가 이처럼 늘고 있는 것은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구조조정을 일상화하면서 노동자들이 기능직에서 밀려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 직업군은 2002년 269만7천명에서 2007년 242만3천명으로 27만4천명, 10.2%가 줄었다.
또 농업.임업 및 어업숙련종사자는 2002년 196만4천명에서 2007년 162만4천명으로 34만명, 17.3%나 감소했고 판매종사자도 같은 기간 295만2천명에서 265만5천명으로 29만7천명(10.1%)이 줄어들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사회적으로 선호되는 직업군의 경우 높은 소득과 고용안정성 등으로 해당 직업에 종사하려는 준비생들이 많아 자연스럽게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표> 직업별 취업자 증감현황 (단위: 천명,%)
┌─────────────┬─────┬─────┬─────┬─────┐
│ 직업구분 │ 2002 │ 2007 │ 증감 │ 증감률 │
├─────────────┼─────┼─────┼─────┼─────┤
│ 계 │ 22,169 │ 23,433 │ 1,264 │ 5.7 │
├─────────────┼─────┼─────┼─────┼─────┤
│0.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 570 │ 556 │ -14 │ -2.5 │
│ 관리자 │ │ │ │ │
├─────────────┼─────┼─────┼─────┼─────┤
│ 1.전문가 │ 1,577 │ 2,032 │ 455 │ 28.9 │
├─────────────┼─────┼─────┼─────┼─────┤
│ 2.기술공 및 준전문가 │ 2,115 │ 2,609 │ 494 │ 23.4 │
├─────────────┼─────┼─────┼─────┼─────┤
│ *전문·기술·행정관리자 │ 4,262 │ 5,197 │ 935 │ 21.9 │
├─────────────┼─────┼─────┼─────┼─────┤
│ 3.사무 종사자 │ 2,822 │ 3,309 │ 487 │ 17.3 │
├─────────────┼─────┼─────┼─────┼─────┤
│ 4.서비스 종사자 │ 2,843 │ 2,912 │ 69 │ 2.4 │
├─────────────┼─────┼─────┼─────┼─────┤
│ 5.판매 종사자 │ 2,952 │ 2,655 │ -297 │ -10.1 │
├─────────────┼─────┼─────┼─────┼─────┤
│ *서비스·판매종사자 │ 5,796 │ 5,567 │ -229 │ -4.0 │
├─────────────┼─────┼─────┼─────┼─────┤
│ 6.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 1,964 │ 1,624 │ -340 │ -17.3 │
│ 종사자 │ │ │ │ │
├─────────────┼─────┼─────┼─────┼─────┤
│7.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 2,697 │ 2,423 │ -274 │ -10.2 │
│ 자 │ │ │ │ │
├─────────────┼─────┼─────┼─────┼─────┤
│8.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 2,373 │ 2,588 │ 215 │ 9.1 │
│ 사자 │ │ │ │ │
├─────────────┼─────┼─────┼─────┼─────┤
│ 9.단순 노무 종사자 │ 2,255 │ 2,725 │ 470 │ 20.8 │
├─────────────┼─────┼─────┼─────┼─────┤
│*기능·기계조작·조립·단 │ 7,325 │ 7,735 │ 410 │ 5.6 │
│ 순노무종사자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