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나들섬 20만명 규모 '미니도시'로 건설
상태바
나들섬 20만명 규모 '미니도시'로 건설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1.29 2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 새로운 남북경제협력 모델로 제시한 '나들섬'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나들섬 구상이란 비무장지대인 경기도 강화군 교동도 북동쪽 한강 하구 퇴적지 일대에 약 900만평(30㎢. 여의도 10배 면적) 규모의 섬을 만들어 통신.통행.통관 등의 애로가 없는 남북경제협력단지를 만든다는 계획.

   29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따르면 나들섬은 인구 20만명 규모의 '미니도시' 형태로 추진될 전망이다.

   부지는 비무장지대 한강 하구의 하천 준설로 얻게 되는 토사를 이용해 조성되는데, 사업비는 2조원이 들 것으로 인수위는 추산했다.

   전체 부지 900만평 가운데 40%인 360만평은 공공용지로서 도로와 하수처리장 등 SOC(사회간접자본)와 함께 녹지 공간이 조성되며, 나머지 60%인 540만평은 민간에 매각해 개발토록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토지매각대금은 8조1천억원(평당 15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6월 나들섬 구상을 발표하면서 "섬 건설에 2조원 가까이 들 것으로 본다"며 "정부 주도의 공영개발 방식으로 하면 부지 조성과 연결도로 건설비까지 자체 조달하고도 남을 것이며, 남는 돈은 남북협력기금으로 요긴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인수위는 민간용지에 3만t급 6선석 규모의 신항만과 물류유통단지, 중계무역단지, 산업단지, 주거단지, 상업단지 등을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나들섬의 남쪽인 교동도와 강화도 사이 바다에는 발전수차(水車) 없이 방조제만 건설되기 때문에 강화도에 들어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인수위는 판단했다.

   인수위는 아울러 나들섬과 방조제 사이를 2㎞ 이상 떨어뜨려 3만t급 선박이 운항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나고 드는 섬'이라는 의미의 나들섬 구상은 이 당선인의 대북정책인 '비핵.개방 3000' 구상의 실천방안으로, 시장경제체제하에서 남한의 기술과 자본을 북한의 노동력과 결합해 북한의 개방을 지원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비핵.개방 3000' 구상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개방하면 10년 안에 1인당 국민소득이 3천달러로 올라가도록 북한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나들섬 건설은 향후 대북관계와 북핵문제 등 한반도 주변 정세와 연동될 가능성이 높아 현재로선 건설시기를 가늠하기 힘들다는 게 인수위의 입장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나들섬 구상은 대북관계 진전과 함께 북핵문제 해결이 선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