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김대중 정부가 재탄생의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 곳 캠프그리스에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건네졌다”며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가 열어갈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을 경기도가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당장 추진할 수 있는 ‘평화경제 전략’ 3가지를 경기도지사로서 제안한다”고 말했다.
3대 전략의 첫째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의 ‘DMZ 내 솔라파크’ 조성 방안과 얼마 전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가 중앙정부에 건의한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 방안의 연장”이라며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또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은 민통선 및 DMZ 인접 지역에 태양광·풍력 등의 친환경에너지 인프라를 설치, 남북한 공동 에너지 자립체계 마련을 통해 평화구역으로 전환하자는 구상이다.
김 지사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로 반도체·AI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접경지와 경기 북부 도민들에게 그 이익을 공유할 것”이라며 “경기도가 이런 방안과 제안을 앞장서 적극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
둘째는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이다. 김 지사는 앞으로 지정될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에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하겠다“며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평화경제특구로 지정되면 지방세나 부담금 감면 및 자금 지원 등 혜택이 주어지는 산업단지나 관광특구 조성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는 최근 김 지사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이다. 김 지사는 ”우리가 있는 평화의 플랫폼 캠프그리브스는 반세기 동안 미 2사단 506연대가 주둔하던 곳이었다“며 ”경기도에는 이곳처럼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 스물두 곳이 있다“고 소개했다.

김 지사는 ’9.19 평양공동선언‘이야말로”남북 교류 협력을 촉진하는 가장 구체적인 ’경제 선언‘“이라며 ”9.19군사합의는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가장 실질적인 ’평화 선언‘“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9.19 선언을 이정표 삼아 평화경제의 길을 열어가고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윤석열 정부에서 경기도는 망명정부라는 말을 들었다“며 ”우리 주권정부에선 경기도가 마중물 역할을 더 확실하게 하겠다“고 다짐했다.
민간인통제선 내 캠프그리브스는 과거 반세기 넘게 주한미군의 최전방 군사기지로 사용됐던 분단과 대결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2007년 한국 정부로 반환됐고 2022년 경기도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현재는 평화와 생태 공간으로 거듭나 있다.
행사는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포럼 사의재·노무현재단·한반도평화포럼·김대중재단)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프리드리히 에버트재단이 후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