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감소와 고용불안이 삼화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심리가 외환위기 때 수준으로 냉각됐다.
29일 한국은행이 전국 22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12월 소비자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심리지수는 81로 전월보다 3포인트 떨어졌다. 1998년 4분기(80)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지출전망 등 6개 지수를 합성해 산출된다. 주요 지수들이 외환위기 수준으로 하락했다.
우선 소비지출전망 지수는 89로 전달(94)보다 5포인트 떨어져 1998년 4분기(83) 이후 최악의 수준을 나타냈다.
항목별로는 내구재가 79에서 73으로, 의류비가 86에서 80으로, 여행비가 64에서 58로 떨어졌다. 교육비는 101에서 98로 3포인트 하락해 1998년 4분기(99) 이후 처음으로 100아래로 하락했다.
외식비와 교양.오락·문화비도 각각 5포인트와 4포인트의 하락했다. 이 지수가 100 이상이면 소비지출을 늘리겠다는 소비자가 그렇지 않은 소비자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 이하면 그 반대임을 의미한다.
가계수입전망 지수도 전월보다 3포인트 떨어진 81을 기록했다.
소득별로는 500만 원대 가구는 89에서 85로, 400만 원대 가구는 86에서 84로, 300만 원대 가구는 86에서 81로 하락했다. 100만 원 미만 가구를 제외한 모든 소득계층에서 수입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생활형편 전망지수는 11월의 76에서 12월 75로 1포인트 하락했다.
취업기회전망 지수도 45로 전달보다 5포인트 하락했다. 경기 전망 지수도 58에서 56으로 2포인트 떨어졌다.
소비자들은 자산가치도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상가가치전망 지수는 79로 전월의 85보다 무려6포인트 떨어졌다. 토지.임야는 83에서 76으로, 금융저축은 85에서 83으로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