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의 보신각 타종행사 왜곡 논란에 대해 공식적으로 해명했다.
KBS ‘가는 해 오는 해’의 제작진은 2일 보도자료를 내고 “각종 시위대의 구호소리나 시위홍보물이 방송의 주된 내용이 아니었고 공연이 중심이 됐으며 화면과 음향도 공연위주로 구성됐다”며 “현장 마이크가 있는 지역은 시위대의 소음이 너무 커 현장음향을 방송하기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공식적으로 해명했다.
이어 “대규모 공개방송 제작 시 관객의 모든 소리를 수음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경우 일부지역에서 잡은 소리와 효과음을 섞어 ‘관객의 소리’를 만드는 것이 방송제작의 기본”이라며 “방송가에선 이를 왜곡 조작이라고 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31일 ‘가는 해 오는 해’ 생중계 당시 현장에는 전국언론노조 소속 조합원과 시민단체들이 한나라당의 미디어 관련법 개정안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KBS는 현장음 대신 박수소리 등을 삽입했고, 시위대의 모습도 카메라에 담지 않았다.
방송 직후 누리꾼들은 KBS 홈페이지 게시판에 “KBS가 집회현장 화면과 음향을 왜곡했다”며 비난을 쏟아냈다.
MBC 신경민 앵커는 1일 '뉴스데스크'에서 "이번 보신각 제야의 종 분위기는 예년과 달랐다. 각종 구호에 1만여 경찰이 막아섰고 소란과 소음을 지워버린 중계방송이 있었다"며 "화면의 사실이 현장의 진실과 다를 수 있다는 점, 그래서 언론 특히 방송의 구조가 남의 일이 아니라는 점을 시청자들이 새해 첫날 새벽부터 현장실습교재로 열공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