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70대에도 은퇴 후의 삶을 즐기기 보다 계속 일을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스가 23일 보도했다.
HSBC 그룹이 영국 옥스퍼드대학과 함께 전 세계 21개국 2만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70대의 11%와 60대의 3분의 1이 일터에 고용돼 여전히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일하는 70대가 19%나 됐다.
또 40대와 50대 가운데 조기 퇴직을 할 계획이라는 사람은 12%에 불과했다. 60대와 70대 가운데 실제 조기 퇴직한 사람은 16%였다.
그러나 한국과 독일, 홍콩의 경우 과거 조기 퇴직한 사람보다 조기 퇴직을 예상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이번 조사에 참가한 옥스퍼드 노령화 연구소의 사라 하퍼 교수는 "조기 퇴직은 그동안 사람들의 바람이자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지만 이제는 조기에 은퇴한 많은 사람들이 이를 후회하는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1970∼80년대 기업들이 젊은층의 실업난 해소를 위해 조기 퇴직 제도를 앞다퉈 도입했으나 고령화 등으로 인해 나이가 들어도 계속 일하고 싶어하는 노인들이 늘고 있다는 것.
HSBC 그룹의 보험 부문 클리브 배니스터 전무이사는 60-70대 노인들이 과거보다 더 건강해 원할 경우 충분히 더 오래 일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건강에 있어서 70세는 새로운 50세"라면서 "의료서비스의 발전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60-79세 응답자의 86%는 건강하다고 대답했으며 건강이 좋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은 14%에 불과했다.
국가별로는 70대 가운데 건강하다고 답한 이의 비율이 캐나다가 76%로 가장 높았으며 영국(73%), 미국(72%) 순이었다.
60세 이상의 고용 인구는 784억달러의 세금을 내고 있으며 노년층의 자원봉사활동의 가치는 연간 수십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하퍼 교수는 "60-70대는 우리 사회에 필수적인 존재"라면서 "이들이 사라진다면 가정과 사회, 일터는 무너질 것"이라고 지적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