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공공기관들에 따르면 공기업.준정부기관.기타공공기관 가운데 38개 주요 공공기관의 기관장 업추비는 기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으나 역시 금융공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산업은행 총재의 업추비는 작년에 1억3천2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년의 9천100만원에 비해서는 45.1%인 4천100만원이 늘어난 것이며 가장 적은 한국지역난방공사 500만원에 비해서는 26배에 이르는 규모다.
금융감독원 원장의 업추비는 9천200만원으로 전년의 8천600만원보다 7.0% 증가하면서 2위를 유지했다. 국민연금관리공단 이사장의 업추비는 작년에 8천600만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전년에는 6개월간 이사장 공석으로 6천800만원이었다.
이어 중소기업진흥공단 8천100만원, 근로복지공단 7천500만원, 수출입은행 6천300만원, 공무원연금관리공단 6천100만원,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6천만원 등의 순이었다.
지역난방공사 사장의 업추비 500만원은 전년의 1천400만원에 비해 3분의 1로 줄어든 것으로, 산업은행 총재의 3.8%에 불과한 금액이다.
난방공사 관계자는 "사장이 2005년에 취임하느라 업추비를 상대적으로 많이 썼다"면서 "업추비를 거의 사용하지 않은 작년이 정상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기관장 업추비가 2천만원 미만인 곳은 지역난방공사 외에 농촌공사.농수산물유통공사(각 1천900만원), 조폐공사.석유공사(각 1천800만원), 강원랜드(1천600만원), 가스안전공사(1천500만원), 한국수자원공사(1천400만원), 한국공항공사(1천만원) 등이다.
공항공사는 지난 2002년부터 사장 업추비를 1천만원 선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전했다.
시장형 공기업 중에서는 한국전력이 3천4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스공사 3천300만원, 부산항만공사 2천300만원, 인천국제공항 2천만원 등이었다.
이밖에 기술보증기금은 작년에 3천700만원으로 전년의 5천100만원에 비해 27.5%인 1천400만원 줄었고 한국감정원은 3천만원에서 2천400만원으로 20%인 600만원이 감소했다. 이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자율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이들 기관은 설명했다.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의 업추비는 작년에 1천400만원으로 전년의 500만원에 비해 급증했다. 2005년 액수가 적은 것은 8개월간 사장자리가 비워져 있었기 때문이라고 공사측은 밝혔다.
한국투자공사 사장의 업추비가 4천900만원에서 2천900만원으로 감소했는데, 이 역시 사장교체에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