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군 수사기관과 경찰, 금융감독 당국, 보험사들은 전.현직 군인들이 보험사기를 저지르고 있다는 제보에 따라 최근 합동 조사에 착수했다.
관계 당국은 일부 전역 군인이 보험 대리점을 운영하면서 현역 군인을 여러 보험에 가입시킨 뒤 군 생활 중에 발생한 기존의 질병이나 상해가 보험 가입 이후에 발생한 것처럼 꾸며 보험금을 타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들 전역 군인은 보험 사기 브로커로 활동하며 보험금의 50% 정도까지 수수료 명목으로 챙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부 현역 군인이 전역을 앞두고 다수의 보험에 가입한 뒤 보험 사고를 조작해 보험금을 타는 사례가 있는 것으로 관계 당국은 보고 있다.
관계 당국과 보험사들은 군인들의 보험 가입과 보험금 지급 현황을 조사 중이다.
현재까지 조사 대상자가 200~300명에 이르고 보험사기 브로커 조직이 10~20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들 브로커는 현역 군인들이 사회 물정에 어둡고 생활이 어려운 점을 악용해 보험사기에 가담시켜 보험금을 가로채는 것으로 보인다고 관계 당국은 설명했다.
특히 군 생활 중에 발생한 사고나 질병, 군 병원 입원 등에 대해 보험사들이 확인하기 힘든 점도 보험사기에 악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작년말부터 전.현직 군인들의 보험사기 제보가 잇따르고 있고 어떤 군인은 보험 사고를 조작해 3억원의 보험금을 탄 의혹을 받고 있다"며 "군인들의 보험 가입 실태 파악이 끝나는 대로 사기 혐의가 짙은 가입자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역 군인들도 브로커의 꾐에 빠져 보험 사기에 휘말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며 "보험사들은 보험 가입과 보험금 지급 심사를 강화하는 등 사기 예방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