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 대학 의과대학 브리검 부인병원의 로버트 월딩거 박사는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Psychiatry)' 최신호(6월1일자)에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10대 때 다른 형제자매와 사이가 좋지 않으면 50세 이전에 우울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고 발표했다.
헬스데이 뉴스가 1일 이 논문 내용르 상세하게 보도했다.
윌딩거 박사는 남자 229명을 대상으로 10대 때부터 50대까지 생활의 질, 형제자매와의 관계, 양육의 질, 우울증가족력 등을 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50세까지 우울증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예고할 수 있는 두 가지 지표가 형제자매간 불화와 우울증가족력인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형제자매 중 단 한 명과 사이가 좋지 않아도 결과는 마찬가지였으며 형제자매 중 단 한 명이라도 사이가 매우 가까웠던 사람은 나중에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훨씬 적었다고 윌딩거 박사는 밝혔다.
윌딩거 박사는 이 결과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형제자매와 사이가 좋지 않은 것이 우울증의 "초기 전조증상"이거나 아니면 형제자매와 가까운 사이가 또래 친구들과 관계를 맺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뜻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시애틀 집단건강조합(Group Health Cooperative)병원 정신과전문의 그레고리 사이먼 박사는 어렸을 때 형제자매 간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이 성인이 되었을 때의 정신건강에 오래도록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이 연구결과가 정신질환의 근원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사이먼 박사는 형제자매 사이가 원활하지 못한 것은 우울증의 초기신호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