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가운데 30% 이상이 스스로를 비만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실제 비만인구는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가 작년 9∼11월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중 서울시민 2천294명의 응답을 따로 분석한 결과 이런 내용이 드러났다 . 서울시는 이를 '서울시민의 주관적 건강 수준' 이라는 자료로 정리해 7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 가운데 스스로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32.2%로 집계됐으나, 실제 비만은 21.3%였다.
이에 따라 최근 1년간 살을 빼거나 몸매를 유지하기 위해 운동이나 다이어트 등의 노력을 했다는 응답자가 53.0%로, 전년 조사 때의 46.8%보다 6.2% 포인트 늘었다.
또 현재 흡연자 중 1개월 안에 금연할 계획이 있다고 밝힌 시민은 30.2%로 2008년(22.3%)보다 많아졌고, 최근 1년간 24시간 이상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의 비율도 2008년 43.7%에서 작년 48.7%로 증가했다.
건강에 무리가 가도록 술을 먹는다고 밝힌 응답자의 비율을 뜻하는 '고위험 음주율'은 17.1%로, 전년의 20.3%에 비해 줄었다.
고위험 음주율은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는 7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 마시는 것을 주 2회 이상 반복한다고 답한 비율이다.
건강검진에 대한 관심도 크게 높아졌다.
최근 2년 사이 건강검진을 받은 적이 있다는 시민은 57.2%로, 2008년의 51.2%보다 6.0% 포인트 늘었다.
특히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한 암 검진율은 2008년 34.2%에서 작년 43.9%로 크게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