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연구원은 21일 ‘우리나라 가계 금융자산 축적 부진의 원인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개인순저축률이 1995년∼2000년에 연 평균 16.2%였지만 2001년∼2007년에는 3.8%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유경원 연구위원은 낮은 소득 증가율과 주택 등 자산가격 상승, 가계부채 증가, 저금리 기조,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 지출 증가가 저축률 급락의 배경으로 꼽았다.
그는 외환위기 이후 저축 관련 정책이 소비 지출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저축 유인책이 폐지된 것도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국민연금에 대한 기대로 저소득 계층의 저축률이 많이 떨어졌으며, 사교육비 부담이 큰 40대의 저축률 하락도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유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가계는 자신을 위한 저축과 소비를 제대로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소비를 줄여 저축하기보다는 교육과 부동산 투자를 합리적 수준으로 조정하는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