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을 수술하지 않고 치료할수 있는 길이 열렸다.
퇴행성 관절염이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염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다.
19일 경희대 한의과대학 김형민 교수 연구팀과 관절염 전문병원인 튼튼마디한의원은 여러 한약재에서 각종 성분을 추출해 만든 '백절탕'이 관절 연골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내용의 논문이 SCI급 국제학술지인 '파이토테라피 리서치(Phytotherapy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국제학술지에 소개된 백절탕은 녹각(鹿角)과 구판(龜板), 별갑(鼈甲) 등 관절과 뼈에 좋다고 알려진 한약 재료에서 관절 연골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콜라겐을 추출해 만든 한약이다.
연구진은 콜라겐 등이 분해, 소멸되면서 연골이 줄어들어 퇴행성 관절염이 생기기 때문에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단백질분해효소(MMPs)의 작용을 억제해야 한다는 데 주목했다.
연구진은 이에따라 염증이 있는 토끼의 연골에 백절탕의 양을 달리해 투여하는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콜라겐 등 연골을 이루는 성분이 최대 3배가량 늘고 단백질분해효소는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임상시험에서도 효과가 있어, 9~10월 튼튼마디한의원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 1천547명에게 백절탕을 3개월 이상 복용케한 결과 90%에 달하는 환자가 통증이 줄었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튼튼마디한의원 한 관계자는 "수술이 부담스러운 60~70대 이상 고령 환자도 꾸준히 복용하면 통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며 "백절탕의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퇴행성 관절염을 수술없이 완치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