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연속 주택건설(인허가 기준) 실적이 40만 가구에 못 미치며 2011년부터 집값 오름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실수요자 수요가 많은 아파트 물량이 특히 줄어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20일 국토해양부는 올해 1~11월 인·허가 누계치는 22만9천39가구로 지난해 동기의 23만6천282가구보다 3.1% 감소했다고 밝혔다.
12월에 공공 부문이 인·허가 물량을 대량으로 쏟아낸다 해도 올해 연간 목표인 40만가구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주택건설 실적은 인·허가 물량을 기준으로 하는 수치다. 인·허가 받은 이후에도 단독주택 등은 1년, 공동주택은 2~3년간의 공사 기간이 걸려, 향후 수년간의 주택 시장 수급을 예측하는 선행 지표로 쓰인다.
연간 주택건설 실적은 1990년 1기 신도시가 조성될 당시 최대 75만가구에 달하기도 했으나, 외환위기 이후 1998년 30만가구로 떨어지고 나서 1999년 40만가구로 오른 이후, 매년 43만~67만가구를 유지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37만가구, 지난해 38만가구로 감소했다.
국토부는 당초 올해 주택건설 목표를 43만가구로 잡았으나 올 4월 3만가구로 줄여 40만 가구 (수도권 26만가구, 지방 14만가구)로 확정한 바 있지만, 지금으로선 이에 못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해 1~11월 민간 부문은 19만3천가구로 높은 실적을 기록했으나, LH(한국토지주택공사)의 경영난 등으로 공공 부문은 3만6천가구에서 그쳤다.
수도권은 13만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3.3% 줄었으며, 특히 인천(2만3천가구)은 45.6%나 급감했다. 서울(2만6천가구)은 34.4%, 경기(8만3천가구)는 10.8% 증가했다.
지방은 평균 2.7% 감소했지만 올해 시장이 뜨거웠던 부산(47.7%), 대전(80.8%)은 늘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작년 동기 대비 16만가구에서 13만가구로 19.6%나 줄었다. 따라서 전체 주택 차지 비중도 68.4%에서 56.7%로 하락했다.
전용면적별로는 중대형 평형은 급감한 대신 원룸 보급 확대 등으로 소형 평형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0~85㎡ 8만8천가구, 85~135㎡ 5만2천가구, 40~60㎡ 3만2천가구, 40㎡ 이하 3만가구, 135㎡ 이상 2만7천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연간 주택건설 인·허가 물량이 올해까지 3년 연속 40만가구를 밑돌 공산이 큰 데다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아파트의 공급 비중이 떨어져 내년부터 부동산 시장이 불안해질 공산이 있다는 전망도 업계 일각에서는 나오고 있다.
줄어든 물량으로 부동산 시장 불안 전망이 쏟아지는 가운데 국토부는 주택 보급률이 전국 평균 100%를 넘은데다 미분양 물량도 남아있고, 부동산 투기 심리도 예전보다 낮아져 집값 상승 등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류세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