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 이용자와 갤럭시폰 아이폰 등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사생활을 노출을 자제하고 중요한 정보는 안전하게 관리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는 이들 사용자가 해커의 주요표적이 될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29일(현지시간) 일간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과 CNN 등 미국 주요 언론들은 컴퓨터 보안업체인 '맥아피'의 보고서를 인용, 새해부터는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와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등이 해커의 주요 표적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이들 보도에 따르면 맥아피는 '위협 예측'이라는 보고서에서 메신저와 소셜네트워킹사이트 페이스북, 위치정보서비스 포스퀘어, URL단축서비스,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애플 운영체계(OS) 등에 대한 위협이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이메일을 통한 스팸메일은 현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다음은 맥아피 보고서에서 표적이 될 가능성이 큰 첨단분야를 정리한 것이다.
위치정보서비스
휴대전화 이용자들이 친구들에게 자신들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포스퀘어, 고왈라, 페이스북 플레이스 등에 대한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 위치정보를 붙인 트위터도 우려 대상이다. 이들 서비스는 자신의 위치를 음식점등 구체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상당한 보안위협이 될것으로 예상된다.
소셜미디어
범죄인들이 소셜미디어에 게시된 프로필 등에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들이 언급한 내용을 이용해 각종 범죄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맥아피는 소셜미디어가 이메일을 대신해 악성코드를 전파하는 1차 매개자가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웹주소(URL) 단축서비스 사이트
이 사이트는 긴 인터넷 주소를 줄여줌으로써 이메일이나 문자, 트위터의 트윗 등에서 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하지만 클릭 전에는 단축된 주소가 실제로 어떤 사이트와 링크돼 있는지 알 수 없어 악성코드를 심는데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스마트폰
지금까지 스마트폰에 대한 사이버공격은 그렇게 많지 않았으나 맥아피는 내년에는 모바일기기에 대한 위협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모바일기기가 비즈니스환경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면서 위협도 많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했다.
애플 OS
지금까지 애플의 OS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가 거의 없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맥아피는 앞으로 그 같은 신화가 바뀔 수 있다고 전망했다. 맥아피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인기 등으로 인해 향후에는 위험에 노출될 우려도 커졌다"고 말했다.
핵티비즘(Hacktivism)
정치적인 이유로 웹사이트를 공격하는 인터넷 활동을 이르는 말로, 마스터카드 등 사이트를 마비시킨 위키리크스 지지 해커활동이 대표적인 예이다. '핵티비즘'은 1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확산할 것으로 예상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