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의 권익을 도모한다는 취지에서 출발한 농협이 돈 되는 금융부문 모든 곳에 문어발을 뻗치고 있다.
농민이라는 고정된 고객을 상대로 이장사 저장사 다 해보겠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금융업계는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농협의 문어발식 확장에 시샘어린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산물을 유통하는 '경제사업'과 농민들을 상대로 돈장사를 하는 '신용사업'을 동시에 영위중인 농협이 최근 금융관련 사업 영역을 끝없이 확장해 나가고 있다.
상조업 자회사 설립은 물론 농협의 신용사업인 금융부문과 경제사업인 유통을 분리하는 것을 뼈대로 한 농협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 올해 농협법 개정이 이뤄지면 '농협보험' 및 '카드 분사'가 가능해진다.
이에 일각에서는 농민을 위한다는 본래의 취지와 달리 이익 창출에만 눈을 돌리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농협은 최근들어 상조업 자회사 설립에 관한 사업까지 검토중이다. 현재 농협에는 장례지원단이 마련돼 있으며, 개별 조합별로 의전서비스 대행업체와 협약을 맺고 장례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지난해 말 막판 진통을 겪으면서 법안 통과에 실패한 농협법 개정안이 올해 통과되면 농협은 보험 부문을 따로 떼어 내 농협보험을 설립할 계획이다. 농협보험은 자산 규모가 30조원으로, 출범과 동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농협은 또 농협구조개편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카드 분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생명보험업계 관계자는 "농협은 농협법이 따로 마련돼 있는데다 정부의 예산을 받고 있어 온실 속의 화초와 다름없다"며 "여러 특혜조항이 포함된 농협보험 개정안이 통과된다면 업계 전반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농협은 경제 사업보다 신용사업 확장에 더 큰 관심을 보이며 금융권 전반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정부는 농협이 본래의 취지를 잊지 않고 농촌 사업 활성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채찍질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농협 관계자는 "농협법 개정안은 농민의 권익을 위해 마련된 것"이라며 "농민의 혜택을 고려한 다양한 보험 상품과 창구를 마련하는 것은 비난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