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소비자들 "제발 '통큰 치킨'좀 되돌려 줘"
상태바
소비자들 "제발 '통큰 치킨'좀 되돌려 줘"
트위터리안 긴급 설문 조사..찬성이 반대의 3배 웃돌아
  • 심나영 기자 sny@csnews.co.kr
  • 승인 2011.01.13 0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롯데마트의 5천원 짜리 ‘통큰치킨’은 지난해 말 대한민국을 관통한 핫이슈였다. 하지만 비난여론이 들끓자 롯데마트는 출시된 지 일주일만인 12월 16일 제품을 철수했다.


치킨 가격의 거품제거라는 긍정적 담론이 무시된 채 원가이하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미끼상품, 영세상인 죽이기 등의 반대 이유에만 초점이 맞춰졌던 셈이다.


통큰치킨이 여론의 뭇매로 철수한 이후에도 '통큰' 논란은 사라지지 않았다. 통큰넷북, 통큰갈비, 통큰한우 등 롯데마트의 지속적인 가격파괴 마케팅이 여론의 역풍을 맞았기 때문이다. 결국 영세상인들과 축산농가 등 사회적 정치적 이슈와 맞부딪쳐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통큰치킨이 자취를 감춘 지 한 달, 여전히 주말 저녁만 되면 치킨집 전화번호를 습관처럼 누르고 있는 대한민국 소비자들은 ‘통큰치킨’ 사태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은 12일, 본지 공식트위터(@consumer_rh)와 본지 임경오 편집국장(@Dynamiciko)의 6만 팔로워들을 대상으로 ‘통큰치킨 철수 한 달, 소비자들의 의견을 묻습니다’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언론을 통한 여론의 뭇매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의견은 '통큰치킨' 판매에 대한 찬성이 압도적이었다. 찬성이 반대의 3배를 웃돌았다.(찬성238명, 반대74명)

 

통큰치킨으로 인해 드러난 프랜차이즈 치킨업체의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싼 값에 좋은 상품을 구매해야 할 소비자 권리를 누리고 싶다는 이유가 많았다.

 

결국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마케팅이었지만 정치적 구호를 앞세운 공급자(치킨자영업자, 치킨 프랜차이즈 점주, 축산농가, 동네 정육점)의 뭇매로 무위로 돌아간점을 크게 아쉬워했다.  

 

 


아이디 toktok74는 “통큰치킨 이후에도 내려가지 않은 치킨가격을 보니 치킨업계가 참 뻔뻔하다고 생각된다.롯데마트가 아니었으면 원가 문제를 꼬집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SJTLE는 "롯데가 좀 더 저렴하게 양질의 상품을 공급한다는 느낌이다. 부담스러웠던 치킨 가격을 내려 대중화해야한다는 생각"이라고 찬성했다.


treetimes는 이참에 치킨프랜차이즈들이 가격을 더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통큰치킨은 대기업의 횡포가 아니다.롯데는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을 제시한 것이고, 영세업체들이 통큰을 이기고 싶다면 가격을 내려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humble_soul도 “소비자가 싸고 믿을 수 있는 제품을 구매하려는 건 시장경제에서 당연한 일.프랜차이즈가 광고비니 개발비니 하면서 터무니없이 가격을 올리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rnwlsqja는 “공급자 위주로만 가격이 형성되는 관행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서라도 한정수량 내에서 다시 판매되는 게 옳다”며 소비자 주권을 주장했다.

대기업의 가격파괴에 대한 이같은 호응에 대해 롯데마트측도 시장 원리로 따졌던 상품가격이  정치‧사회적 이슈로 변질돼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였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마트에서는 싸고 질 좋은 상품을 공급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해 통큰치킨을 판매했지만 이것이 정치적으로 해석돼 판매가 중단돼 참담했었다”며 “앞으로 상품을 판매할 때 시장 상황만 아니라 정치.사회적 영향도 어느 정도 고려할 것”일라고 말했다.


한편 통큰치킨 반대 의견을 낸 소비자들은 대기업의 미끼상술이라는 점을 문제 삼았다. 원가이하의 가격파괴는 시장을 교란시킨다는 지적도 나왔다.


아이디 silver41022는 “손님을 끌어 모으기 위한 상술”이라며 “줄서서 기다리는 동안 다른 물건 사오란 소리나 같다”고 말했다. archengine는 “통큰치킨이 사회이슈를 만들어내고 롯데마트는 소비자 잠재의식에 다른 곳보다 모든 물건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한 후 다른데도 이것을 이용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Hic_et_Nunc7도 “동종의 소매업도 일반서민들이 운영하기 때문에 결국 대기업 배만 채워주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심나영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