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건보 직장가입자 20년후 월36만원 내야"
상태바
"건보 직장가입자 20년후 월36만원 내야"
  • 윤주애 tree@csnews.co.kr
  • 승인 2011.01.17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강보험 재정이 10년내에 16조원대로 적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이를 보전하기위해서는 가입자 부담을 크게 늘려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건강보험 중ㆍ장기 재정전망 연구'란 보고서에서 올해부터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나 보험료 및 수가인상 등 제도적 변화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2020년엔 16조원의 적자를 볼것으로 내다봤다.

  
건보 재정은 2009년 32억원의 적자를 낸데 이어 지난해에도 총수입 33조5천605억원에 총지출 34조8천599억원으로 1조2천994억원의 적자를 기록, 누적 흑자가 9천592억원으로 줄어든 상태다.

  
건보공단의 추계 결과 당장 내년에는 건보 재정이 수입 41조5천590억원, 지출 41조5천871억원으로 누적수지 281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게 된다.

  
적자규모는 이후 2013년 1조5천122억원으로 크게 늘어나고 2014년 3조1천69억원, 2015년 4조7천756억원으로 매년 1조5천억원 정도씩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2018년에는 적자규모가 10조7천57억원으로 10조원대를 돌파한 뒤 2020년 15조9천155억원, 2022년 20조4천186억원, 2025년 29조2천537억원, 2030년 47조7천248억원으로 기하급수적으로 팽창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추산은 건보재정 지출이 2012년부터 2030년까지 41조6천억원에서 137조원으로 무려 3.3배로 늘어나는데 반해 수입은 41조6천억원에서 89조3천억원으로 2.1배로 증가하면서 수지 불균형이 심화된데 따른 것이다.


특히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료비 급증으로 65세 이상 노인들에 대한 급여비 지출이 2012년 13조4천억원에서 2020년 32조2천억원, 2030년 70조3천억원으로 18년만에 5.3배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이같은 수치에 근거해 당기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선 2011년 5.64%였던 직장가입자의 보험료율을 2030년에는 11.69%까지 올려야 된다는 결론이다. 소득의 10% 이상을 건보료로 내야 하는 것이다.

  
수가를 3%씩 인상하게 되면 2021년 전체 지출이 100조원을 초과하고 2030년에는 190조원에 이르게 되는데 당기수지 균형을 위해서는 직장가입자 보험료율을 2021년 8.67%, 2030년 12.41%까지 올려야 한다.

  
이 경우 직장가입자가 월평균 부담해야 하는 건강보험료가 2010년 8만원에서 2020년 19만원, 2030년 36만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물가상승 수준대로 수가를 인상한다 하더라도 수지균형을 위해서는 매년 3∼5%의 보험료 인상이 필요한 셈이다.


이 보고서는 "건보제도의 지속 가능성 핵심은 장기적인 재정 안정성에 있으며 이를 위한 가장 근본적 해결책은 재정수입을 확대하고 재정지출을 합리적으로 절감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