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비자금 의혹 사건이 한화증권(사장 이용호) 내부직원의 제보에서 촉발됐다는 점에서 설 연휴 뒤쯤 이뤄질 정기인사를 앞두고 정보유출의 빌미를 제공한 한화증권 등 주요 계열사 경영진과 법률담당 참모 및 핵심 측근들이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그도 그럴것이 대 재벌 그룹을 이끄는 김 회장이 서울중앙지검도 아닌 규모가 작은 지청급(서울서부지검) 수사당국에 여러차례 불려나가 조사를 받아 자존심이 상할대로 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그룹 핵심 참모들이 검찰수사를 적절히 막아내지 못했다는 일부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어 이번 한화 인사에서는 큰 폭의 문책성 인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재계의 관측이다.
1일 금융권과 재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지난해 말부터 정기인사를 차일피일 미뤄왔다. 김승연 회장이 비자금 관련 수사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검찰 수사가 사실상 마무리 되면서 설 연휴가 끝나는 대로 정기인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금융권과 재계에서는 이번 인사때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와 핵심 참모의 교체여부 및 문책 규모 등이 얼마나 클지에 주목하고 있다.
사실 이번 '비자금 의혹 사건'은 한화증권 내부직원이 금융감독원에 제보를 한 것이 도화선이 됐다는 점에서 한화그룹 내에 '증권발 인사태풍'이 예고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한화그룹 법률관련 담당자들 역시 이번 인사의 칼날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전망이다.
김승연 회장은 이번 사건으로 검찰에 3차례 이상 소환되는 등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었고 장기간 수사로 인해 한화그룹 역시 대내외적 이미지 추락 등 경영면에서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김 회장이 검찰에 소환되는 수모를 겪기까지 1급 참모들과 법률담당자들이 이를 제대로 방어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들중 누가 문책대상에 포함될지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김 회장 비자금 의혹 사건'은 금감원이 한화증권 제보 등을 토대로 조사를 진행, 문제의 차명계좌 5개를 발견해 검찰에 넘기면서 비롯됐다.
사건을 맡은 서울서부지검은 지난 9월 16일 한화그룹과 한화증권 본사를 시작으로 총 13차례의 압수수색과 19차례의 금융계좌 추적을 실시했으며 금감원 제보자 및 한화그룹 관련자 등 총 321명을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지난 5개월 동안 조사를 벌인 결과 한화그룹 전․현직 임직원 등의 명의로 개설된 차명계좌 382개, 차명주주들로 이루어진 차명소유회사 13개, 차명자금 1천77억4천만원을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 회장은 회삿돈 1천918억원을 빼돌리고 회사에 2천394억원의 손해를 입혔으며 차명계좌 등을 운용해 23억8천여만원의 조세를 포탈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당초 김 회장 등 사건관련자 대다수를 구속 수사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홍모 전 CFO를 포함한 그룹 전ㆍ현 고위간부 6명과 삼일회계법인 김 모 상무에 대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모두 기각되면서 지난달 30일, 총 11명 전원을 불구속 기소하는 것으로 수사를 마무리 지었다.
한편, 검찰은 김승연 회장의 비자금 의혹과 관련, '구체적 성과' 없이 수사를 마무리 지으면서 재계로부터 적지 않은 불만을 사고 있다.
검찰이 5개월 동안 김 회장 소환만 3차례 진행하는 등 구체적 혐의 입증 없이 무리한 장기수사를 벌인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화그룹 및 태광그룹 비자금관련 사건을 지휘했던 남기춘 서울서부지검 검사장이 지난달 28일 돌연 사퇴한 배경을 두고 온갖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검찰인사 개입설' '경질설' 등이 제기되고 있어 향후 적지 않은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재계는 보고 있다. 아울러 검찰수사가 마무리국면에 접어들면서 한화그룹 정기인사가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에 재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재계에선 "김승연 회장이 지청급 지검에 세차례나 소환당한데 대해 자존심이 많이 상했을 것"이라며 향후 이뤄질 인사폭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와관련, 한화그룹 내부에선 법률참모와 한화증권 책임자, 특정고교 출신을 비롯한 핵심참모들에 대한 문책성 인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일부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김 회장이 어떤 인사판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그러나 재계 일각에선 이번 비자금 수사가 검찰의 무리한 수사에서 비롯된 만큼 한화그룹 책임자들이 막아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며 따라서 '문책성 인사 운운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biz&ceo뉴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