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30대그룹, 조세피난처에 계열사 200개 넘어
상태바
30대그룹, 조세피난처에 계열사 200개 넘어
  • 김미경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1.02.14 09: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30대 재벌그룹이 경제개발협력회의(OECD)가 지정한 조세피난처 국가에 평균 7~8개의 해외 계열사를 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피난처는 기업이나 개인의 소득에 대한 세금이 거의 없고, 회사 설립 또는 외국환 업무에 대한 규제도 없어 다국적 기업들의 돈세탁 혹은 비자금 은신처로 이용되고 있다.

재벌닷컴은 총수가 있는 자산순위 30대 재벌그룹이 보유한 해외 계열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작년 4월 현재 조세피난처로 분류된 국가나 지역에 소재한 계열사는 231개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30대그룹의 전체 해외 계열사 1천831개의 12.7%에 해당하는 것이다.

국가별로 보면 세금피난국인 홍콩이 72개로 가장 많았고, 저세율국인 싱가포르가 47개, 세금피난국인 말레이시아가 39개를 차지해 동남아 국가가 절반을 넘었다.

유럽에 소재한 세금우대국인 네달란드가 33개, 아일랜드가 9개, 룩셈부르크가 4개, 스위스가 2개였다.소득세가 전혀 부과되지 않아 다국적 기업들의 페이퍼컴퍼니가 운집하고 있는 버진아일랜드(10개), 케이만군도(5개), 파나마(5개), 버뮤다(2개), 사이프러스(2개), 마샬군도(1개) 등 면세국에 25개의 계열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그룹 해외 계열사 중 케이만, 버진아일랜드, 말레이시아 라부안 등에 소재한 일부 금융 계열사는 장부상 자산만 있을 뿐 실적이 없어 역외펀드 관리를 위한 페이퍼컴퍼니로 추정됐다.

그룹별로는 삼성이 홍콩과 말레이시아에 각각 12개, 싱가포르에 8개, 네덜란드에 5개, 파나마에 1개 등 총 38개의 해외 계열사가 조세피난처로 분류된 지역에 소재해 가장 많았다.  

삼성은 OECD가 지정한 조세피난처는 아니지만 필리핀에 삼성전기가 39.8%의 지분을 출자한 페이퍼컴퍼니인 칼람바리얼리티라는 계열사를 갖고 있다.  

롯데는 홍콩에 18개를 비롯해 버진아일랜드에 8개, 네덜란드에 3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케이만군도에 각각 1개 등 32개 계열사가 조세피난처에 있다. 케이만군도 소재 롯데의 계열사인 타임즈는 롯데쇼핑의 홍콩 자회사인 롯데쇼핑홍콩홀딩스가 99.5%의 지분을 출자해 설립한 비금융 지주회사다.  

SK는 홍콩에 8개, 싱가포르에 6개, 네덜란드에 4개, 케이만군도에 3개, 버진아일랜드에 2개, 버뮤다와 말레이시아에 각각 1개 등 25개를 조세피난처에 두고 있다.  

LG는 면세국인 마샬군도와 파나마에 1개씩 등 21개 해외 계열사가 조세피난처에 있었으며, CJ(19개), 두산(17개), GS(9개), 현대(8개), STX(7개) 등의 순이었다. 이어 한진과 대한전선 6개씩, 동양 5개, 현대차와 현대중공업, 금호, 대림, 동부 4개씩으로 뒤를 이었다.

한화와 LS, 효성, KCC, 한진중공업이 각 3개씩, 동국제강이 2개, 웅진이 1개인 반면 신세계를 비롯한 OCI, 현대백화점, 코오롱, 현대산업개발, 영풍은 조세피난처에 소재한 계열사가 없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