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교복 파동..정부는 언제까지 팔짱만?
상태바
교복 파동..정부는 언제까지 팔짱만?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1.02.16 0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주말 동생의 교복을 사러 갔다. 3년 전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미리 신청했던 공동구매장터로 향했다. 대행업체를 통해 30만원대 교복을 17만원에 판매한다고 해서 미리 예약해둔 터였다.


그런데 사전예약 때 신체크기를 기재하지 않았던 것이 발목을 잡았다. 키가 165~170cm인 아이들에게는 그림의 떡인 소(small), 중(midium) 크기밖에 없었던 것.


결국 브랜드 교복 매장 4~5곳을 돌아다닌 끝에 간신히 1벌을 구했다. 상․하의에 셔츠까지 36만원. 비싸서 화들짝 놀라자 판매점은 이월상품인 18만원 짜리를 권유하며 생색을 냈다. 지난해 판매하다 남은 상품이지만 그나마 몸에 맞는 옷을 구했다는 사실에 위안을 삼을 수밖에 없었다.


신학기가 시작되면서  교복 가격에 깊은 한숨을 쉬는 학부형들이 많다. 허리띠를 바짝 조여도 등록금, 교재비에 치솟는 교복 가격에 기가 막히고 코가 막힐 지경이다. 디자인과 원단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는데도  교복 가격은 해마다 널뛰고 있다.


그나마 공동구매가 교복값 잡는 해결사라고 했지만 이마저도 무용지물이 됐다. 교육과학기술부 조사자료에 따르면 작년 교복 공동구매 이용률이 전년보다 2배 가량 증가했지만 평균 구입 가격은 오히려 7천원이나 올랐다. 헌 교복 물려주기도 가난한집 아이라는 낙인만 찍을 뿐 활성화될 기미가 안보인다. 이렇게 가다가는 교복 한 벌 가격이 40만~50만원을 넘는 것도 시간문제일 것 같다.


소비자들은 더 이상 쓸 수 있는 카드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가 가격상한제를 도입해 일정 가격 이상으로는 판매하지 않도록 해야 교복가격의 거품이 빠진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자유시장 경제에서  정부가 교복가격까지 손을 대는 게 ‘과잉 간섭’이라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최근 정부가 물가 불안을 덜기 위해  밀가루, 설탕, 라면등의 가격 동결을 밀어붙이는 점을 들어 교복도 군기잡기'가 필요하다고 반박한다.


올해부터 물가관리기관을 표방하고 있는 공정거래위원회는 CJ제일제당, 농심, 풀무원, 롯데제과 등 식품업체들에게 가격담합 등에 대한 직권조사를 들이대며 인상요인을 억제해왔다.


올리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물론 올린 가격마저 내리게 하는 위엄을 보였다. 그러나 해마다 재연되고 있는 교복 파동에는 팔짱을 끼고 있다.


가뜩이나 아이들이 줄고 있다. 아이를 낳지 않는 첫번째 이유로 무거운 교육비가 꼽히고 있다. 학부모의 등을 휘게 하는 교복 파동, 시끄러워도 그저 이시기만 지나면 잠잠해지니까  그냥 눈감고 시간만 기다리는 건지 갑갑하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