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국내 대기업 56곳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노력을 평가받는다.
대중소 기업의 상생 문화를 조성하고자 출범한 동반성장위는 23일 서초구 팔레스호텔에서 3차 전체회의를 열고 '동반성장지수 추진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시행 첫해인 올해는 전기·전자, 기계·자동차·조선, 화학·비금속·금속, 건설, 도·소매, 통신·정보서비스 등 6대 산업군별로 매출액 및 중소기업과의 협력관계를 고려해 56개 대기업이 평가대상으로 선정됐다.
전기·전자 분야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 11곳이, 기계·자동차·조선에서는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기아자동차 등 15곳이 선정됐다.
도·소매에서는 롯데쇼핑, 신세계, 삼성테스코 3곳이 올랐고 통신·정보서비스에서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삼성SDS, LG CNS 5곳이 포함됐다.
화학·비금속·금속은 SK종합화학, 포스코, GS칼텍스 등 10곳이 포함됐고 건설 부문은 삼성물산(건설부문), 현대건설, GS건설 등 12곳이 지정됐다.
동반성장위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매년 하는 '동반성장 및 공정거래 협약 이행실적 평가' 결과에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을 평가한 결과를 취합해 대기업의 상생 노력을 지수화하기로 했다.
공정위 평가에서는 표준하도급계약서 도입 여부, 1차 협력사의 2차 협력사 지원계획 등 협약 충실도, 동반성장 추진실적 등 협약내용 이행도, 하도급법 위반 및 임직원 물의 등 사회적 물의 야기(감점)를 주로 들여다 보기로 했다.
동반성장위는 올 상반기 안에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정한 뒤 빠르면 내년 2월 처음으로 그 결과를 공표할 계획이다.
위원회 관계자는 “매년 한 차례 동반성장지수(인덱스)에 따른 평점 결과로 등급별, 순위별 등으로 서열화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56곳을 한 줄로 세울지, 산업군별로 랭킹을 매길지, 아니면 등급별로 묶을지 등 세부적인 공표방식은 더 논의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