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대기업 11개월만에 100개사 문어발 확장
상태바
대기업 11개월만에 100개사 문어발 확장
  • 김미경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11.03.03 0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11개월간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을 받는 51개 기업집단의 계열사가 무려 100개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돼 문어발식 확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 제약을 받는 기업집단(51개) 소속 계열사는 1천364개로 작년 4월 1천264개(53개 기업집단. 이중 2개 집단은 중간에 대상에서 빠짐)에 비해 100개(8%) 늘었다.

  
공정위는 매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자산총액이 5조원을 넘는 기업집단을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대상으로 지정하고 매달 이들 기업집단의 계열사 변동내역을 파악하고 있다.


월별 계열사수는 △2010년 4월 1천264개 △5월 1천271개(+7) △6월 1천286개(+15) △7월 1천311개(+25) △8월 1천335개(+24) △9월 1천337개(+2) △10월 1천339개(+2) △11월 1천348개(+9) △12월 1천348개(0) △2011년 1월 1천350개(+2) △2월 1천360개(+10) △3월 1천364개(+4) 등이었다.

  
이중 롯데 계열사가 16개(60→76)나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SK 14개(75→89), 포스코 12개(48→60), GS(69→78)와 CJ(54→63) 각 9개, 웅진 8개(24→32), 동양 7개(24→31) 등의 순으로 증가했다.

  
자산총액 1위인 삼성은 계열사가 71개로 작년 4월에 비해 4개 늘어나는데 그쳤으며, 4위인 현대자동차는 42개로 변함이 없었다.


반면에 금호아시아나가 9개(45→36개) 줄어든 것을 비롯 두산 4개(29→25개), 현대백화점 3개(29→26개), 대한전선이 2개(26→24개) 줄었다.

  
대기업 계열사수가 급증함에 따라 대기업들이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에 호응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문어발식으로 사업영역을 확장, 몸집불리기를 해 온 게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로 작년에 일부 대기업들이 중소기업이 대거 참여하고 있는 사업영역에 뛰어들어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대해 공정위 관계자는 "대기업 계열사가 늘어난 배경에 대해선 좀 더 분석이 필요하다"면서 "중소기업이 주를 이루는 시장에 대기업들이 사업영역을 확장한 결과인지, 경기호전에 따른 정상적인 사업확장인지 단정 짓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공정위는 내달 1일 상호출자·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을 새로 지정, 1년간 적용하게 된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