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의 위치정보 저장에 대해 방통위까지 개입, 파장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애플과 OS시장 1, 2위를 다투는 구글까지 위치정보를 수집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그러나 정작 애플과 비교할 때 구글의 위치정보 수집은 큰 문제가 없다는 지적이다. 수집이나 저장 방식이 다르고 삭제의 용이성 면에서도 차이를 보여 상대적으로 구글은 가벼운 혐의를 받고 있다는 것. 하지만 아이폰 이용자들은 국내 제조사-정부 연합으로 시행하는 '애플 죽이기' 일환이 아니냐고 의심의 눈초리를 보이고 있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최근 아이폰 이용자 위치정보 수집 논란에 관한 공식답변을 애플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광수 방통위 개인정보보호윤리과장은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위치 정보를 수집했다면 개인정보법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며 "이 경우 최대 사업 폐지부터 영업정지, 과징금 징수 등의 행정처분을 내릴 수 있다"고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구글에 대해선 "구글은 약관에 명시한 것처럼 개인을 식별하지 않는 형태로 전송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며 "안드로이드폰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 삭제되는 캐시 형태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만큼 큰 문제될 게 없다"고 촌평했다. 이어 "만약 의혹이 있어 사실 여부를 밝힐 필요가 있다면 추가 조사를 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애플과 구글에 대한 이런 방통위의 이중적인 잣대에 대해 업계 전문가는 "애플과 구글의 위치정보 처리 방식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위치정보 저장 문제의 핵심은 '이용자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있는가'와 '스마트폰이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을 때 내 정보가 노출되는가'인데 구글은 이 문제에서 비껴나 있다는 것.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하드나 서버 등에 지우지 않고 계속 쌓아두는 로그 방식으로 저장하는 애플과 달리 구글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되는 캐시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로그 방식이 일반 사용자가 지우기 까다로운 것에 비해 캐시 방식은 사용자가 원할 때 쉽게 기록을 지울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애플과 구글은 암호화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아이폰이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아무런 동의과정도 없이 암호화하지 않고 저장하는 반면, 안드로이드폰은 '옵트인(opt-in)' 방식을 통해 위치정보 수집·공유 및 사용에 대해 이용자들에게 공지하고 통제권을 준다.
이와 관련 구글도 "이와 같은 과정은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향상된 모바일 경험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며 "구글의 위치정보 서버에 전송되는 모든 정보는 익명으로 처리되고 있으며 개별 사용자와 연결되지도 않고 추적도 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방통위 및 업계 전문가들의 입장과 달리 기존 아이폰 이용자들은 '애플 죽이기'라며 의혹의 눈초리를 보이고 있다.
네이버 카페 '아사모'의 아이디 'firebreath'는 "구글이 수집하는 정보는 그냥 위치정보가 아닌 사용자 이름 전화기 고유식별번호 등 개인정보를 한꺼번에 끌어가는 것"이라며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아이폰 이용자들은 "원치 않는 이용정보 노출이란 측면으로 볼 때 구글과 애플 둘 다 문제인 것 같은데 굳이 애플 아이폰만 문제 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구글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국내 제조사들의 입김이 작용한 것은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위치정보가 기업들에게 넘어가면 주 소비층에게 딱 맞는 맞춤형 광고를 제작하여 엄청난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애플, 구글 상관없이 이용자의 동의 없이 이런 정보가 저장 혹은 거래된다면 충분히 위험하지 않겠냐"고 경고했다.
한편, 현재 애플은 개인정보 침해 및 컴퓨터 사기 등의 혐의로 미국 소비자 2명에 의해 제소된 상태다.
[마이경제뉴스팀/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현준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