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급증하며 통화 불통, 무선 인터넷 끊김 등의 통신 장애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소비자들이 적지 않다.
통신사 측은 통화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단말기 불량인지, 거주지역의 문제인지 확인 후 불편사항을 개선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해결하는 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소비자들의 불편과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다.
▲연합뉴스(기사 특정 내용과 무관함.)
28일 서울시 광진구 중곡동에 사는 최 모(남.39세)씨는 최근 사무실을 이전한 후부터 스마트폰의 3G 무선인터넷 연결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작년 12월 KT 스마트폰을 구입한 최 씨는 한 달 전 서초동으로 사무실을 이전했다. 이때부터 사무실 안에서는 물론, 사무실 주변에서도 3G 무선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았다. 무선인터넷만이 아니라 통화조차 먹통이 되기 일쑤였다.
평소 영업을 위해 인터넷을 자주 사용해야했던 최 씨는 불편을 참지 못하고 KT 고객센터 측으로 문의했지만 해당 지역의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면서 트래픽 과부하가 걸린 것 같다는 답변만 들었다. 이어 KT측은 매월 4천 원의 요금 할인 혜택을 주겠다고 선심을 썼다.
화가 난 최 씨는 “무선인터넷 연결이 안 되면 스마트폰을 사용할 이유가 없다”고 항의하며 통신사를 바꾸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그 역시 쉽지 않은 일이었다. 할부로 지불하고 있던 단말기 대금을 완납해야만 계약을 해지할 수 있었기 때문.
어이가 없어진 최 씨는 “변심으로 인해 계약해지를 하겠다는 것도 아니고, 통신사 측의 사정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인데 소비자에게 책임을 돌리는 것 같아 황당하다”며 하소연했다.
KT에 따르면 현재 문제가 되는 지역의 경우 핸드오프(hand off, 하나의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할 때 통화가 끊기지 않고 계속되도록 해주는 기능)가 이뤄지지 않아 기지국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지국마다 보통 2~3km의 통화 가능 반경을 갖고 있으며, 기지국끼리는 반경이 약간 겹치게 설계하지만 최 씨의 사무실이 위치한 지역의 경우 이 반경을 벗어나 있었던 것.
KT 관계자는 “문제의 지역에 기지국 설치를 진행 중에 있으며,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소비자에게는 요금 할인 혜택을 제안했다”며 “더 이상의 보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김솔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