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이 협력업체와 거래를 통해 수십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은 지난 12일 금호석유화학본사와 서울화인테크, 우진포장해운, 골드라인 등 협력업체를 압수수색했다.
당시 검찰의 칼끝은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을 향해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검찰이 금호석화의 계좌를 추적하다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차명계좌 10여개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비자금의 주인이 형인 박삼구 회장이 아니냐는 의문이 불거졌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은 수사 초기 검찰의 압수수색과 관련해 "죄지은 사람은 따로 있을 것이다. 누구인지는 알아서 판단하라"라며 비자금 조성에 금호아시아나그룹이 관련됐다고 해석될 수 있는 말을 했다. 이 발언이 뒤늦게 주목받으면서 박삼구 회장 비자금설이 증폭되고 있다.
금호아시아나측은 이에 대해 "아직 검찰에서 조사받은 바가 전혀 없어 뭐라고 할 수 없다. 검찰 수사를 지켜보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검찰이 찾아낸 금호아시아나 관련 차명계좌는 박삼구·박찬구 회장이 2009년 이른바 '형제의 난'으로 불리는 경영권 다툼을 벌이기 전 금호석화 협력업체가 개설한 것으로 두 회장이 같은 계좌를 비자금 창구로 사용했을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어찌됐든 '지갑'인 차명계좌는 '형제의 난' 이후 박찬구 회장 측으로 왔다. 그러나 지갑에 든 돈이 문제가 된 현 상황에선 두 회장측 모두 "내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는 모양새다.
검찰은 누구 돈이든 개의치 않겠다는 태도다. 검찰 관계자는 "처음부터 박찬구 회장 돈이라고 한 적도 없다. 누군가를 목표로 정해놓은 수사도 아니다. 이제 절반 정도 온 것 같은데 혐의가 나오는 대로 갈 것이다"라고 수사방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