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지역의 데이터 신호가 3G가 강하면 3G로, 와이파이가 강하면 와이파이로 자동 전환해주는 기술이 개발됐다.
지금까지는 유저들이 일일이 3G와 와이파이를 환경설정에서 바꿔주는 방식이어서 콘텐츠 이용에 불편이 많고 이러다보니 음영지역이 별로 없는 3G망에 항시 접속하는 경우가 많아 통신사 망 부하 원인이 되기도 했다.
1일 SK텔레콤은 스마트폰이 3G와 와이파이 중에서 더 좋은 망을 자동으로 검색해 접속해주는 '가입자망 선택제어(ANDSF)' 기술을 개발해 올 하반기 출시되는 단말기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NDSF가 적용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와이파이 존을 일부러 찾아다니거나, 가장 좋은 와이파이가 무엇인지 골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무제한 데이터 이용자가 아닌 경우, 이 기술이 적용된 단말기를 이용하면 추가 데이터 사용 요금을 줄일 수도 있다.
ANDSF는 사용자뿐 아니라 SK텔레콤에도 유리하다. 3G 망이 겪는 과도한 데이터 부담을 덜 수 있고, 구축해 놓은 와이파이 망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사용자가 신경 쓰지 않아도 항상 연결이 유지되는 3G의 장점을 와이파이에서도 누릴 수 있게 됐다"며 "3G와 와이파이의 데이터 이용량을 효과적으로 분산해 더욱 쾌적한 무선데이터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앞으로 롱텀에볼루션(LTE) 망에도 이 기술을 적용해 와이파이와 LTE 사이에서도 자동 연동이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