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구글과 애플이 스마트폰과 PC의 위치정보를 모두 와이파이 망을 통해 수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와이파이 망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과 애플이 각각 크롬 브라우저나 검색 툴바가 설치된 컴퓨터와 매킨토시 컴퓨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집해왔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와이파이 망을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와이파이는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가 설치된 일정 범위의 공간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뜻하는 것으로 국내 이동통신사의 'T 와이파이존', '쿡 와이파이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애플과 구글이 와이파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이유는 별도의 과금이 필요없는 무료 망이기 때문이다. 3G 망을 사용하면 무제한요금제라도 과금을 예고하는 팝업창이 열리지만, 와이파이 망은 무료이기 때문에 별다른 경고문구 없이 데이터 송수신이 이뤄진다.
최근에는 공공 와이파이 망과 이름이 같은 가짜 와이파이 망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빼낼 수 있다는 실험 결과까지 공개되면서 체계적인 망 관리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와이파이 망 홍보에만 열을 올릴 뿐 정보 유출 위험에 대해서는 사전에 충분히 고지하지 않은 국내 이통사도 사용자의 '보안 둔감증'을 방조한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