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업체가 원가 상승을 이유로 과자 출고가(소매 유통사 공급가)를 10% 안팎 올렸지만 소매점에선 출고가 인상률보다 더 올린 제품이 대부분이어서 소비자들의 지갑을 얇게 만들고 있다.
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과자 소매가 인상률이 이달초 오른 출고가에 비해 3배에 달하는 등 소매가가 출고가에 비해 더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과자 가격은 지난해 7월 시행된 오픈 프라이스(제조업체가 판매가격을 정하지 않고 유통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방식) 제도가 시행되면서 소매가 결정에 유통사의 재량권이 커진 탓도 한몫하고 있다.
출고가 인상률이 7.7%인 농심 새우깡은 한 대형마트에서 소매가가 무려 23.2%나 올라 출고가 인상률에 비해 3배 넘게 올랐으며 마가렛트는 18.2% 상승했다.
또 다른 대형마트의 경우 크라운 산도(323g)를 3천180원에서 3천520원으로 10.7%, 롯데제과 마가렛트(342g)는 3천510원에서 4천160원으로 18.5% 인상했다.
이들 과자의 출고가 인상률은 각각 8%와 11%였다.
출고가가 7% 정도 오른 크라운 조리퐁은 이 대형마트에서 소매가가 1천980원에서 2천240원으로 13.1% 뛰었으며 크라운 산도 역시 12.1% 올렸다.
다른 대형마트 역시 마찬가지로 마가렛트의 소매가를 17.2%, 죠리퐁을 16.7% 올렸다. 출고가가 25% 올랐던 오리온 초코칩쿠키는 소매가가 28.6% 높아졌다.
한 편의점은 조리퐁과 새우깡의 가격을 각각 14.3%, 12.5% 올렸고 다른 편의점 역시 이들 과자를 각각 16.7%, 12.5% 올렸다.
한편 일부 제품은 출고가 인상에도 가격이 변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한꺼번에 소매 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여론이 나빠질 수 있어 단계적으로 출고가가 인상분을 소매가격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