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를 통해 운동을 하면 남성호르몬이 증가되는가에 대해 질문을 받은 적이 있었는데, 최근 같은 질문을 다시 듣게 되면서 관심을 가지게 됐다.
과연 운동을 하게 되면 남성호르몬이 증가하게 될까?
보통 남성호르몬은 20대에 가장 최고조에 이르다가 이후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젊을때와 중년이후의 나이가 어느정도 든 사람의 경우 반응이 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나눠서 설명을 해야 할 것 같다.
젊은 사람의 경우 지금까지 나온 논문들을 보면 대부분 운동을 하고 난 직후에는 남성호르몬이 미약한 수준이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어느정도 증가되는 것으로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 또한 운동후에 휴식기간에도 미약한 수준이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어느정도 증가되어 유지되는 결과가 많다.
그러나 나이가 어느정도 들어가면서 남성호르몬이 점점 없어지는 경우에는 이것을 운동으로 보충할 수 있을까? 애석하게도 남성호르몬 그 자체를 본다면 운동후에 남성호르몬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거의 대부분이다.
운동을 하면 근육에서 남성호르몬을 이용하는 수용체의 수와 민감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남성호르몬이 증가되지 않는 이유중의 하나로, 운동을 하면서 남성호르몬의 수용체의 수와 민감도 증가로 인해서 남성호르몬이 그만큼 더 소비되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이것은 아직까지 증명되지 않은 어디까지나 가설이다.
따라서 아직까지 중년이후에 남성호르몬이 감소함으로 인해서 생기는 갱년기의 증세는 운동으로 솔직히 말해 치료가 어렵다.
그런 증세가 있다면 병원에서 남성호르몬 피검사를 할 수 있다.
만약 남성호르몬 수치가 낮아져 있으면 의학적으로 개발된 여러가지 보충요법으로 먹는 알약, 바르는 젤 혹은 패취, 최근 많이 이용되는 주사요법으로 남성호르몬을 외부에서 보충해주는 것 말고는 확실한 효과가 있는 것이 없다.
그렇다고 운동을 등한시 하라는 말은 아니다.
분명 운동은 남성호르몬 감소로 인해서 생길수 있는 근육의 양을 증가시켜 주고, 다른 다양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근육내의 남성호르몬을 이용하는 수용체 역시 증가된다 따라서 남성호르몬이 증가되지 않더라도 근육의 남성호르몬 이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움말=어비뇨기과 두진경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