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금융이 내부적으로 우리금융 인수 검토 내용이 언론에 공개되자, 우리금융은 16일 반박 자료 내고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는 재정자금으로 공적자금을 상환하는 것과 같아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며 반발했다.
우리금융은 16일 합병 후 정부 보유 지분이 50~60%로 낮아질 것이라는 산은금융 주장에 대해 "우리금융 인수 후 산은금융의 연결 자기자본은 현 22조6천억원에서 39조5천억원으로 증가한다"며 "산은금융이 우선 10%의 지분을 상장하고 우리금융 소수 지분에 따른 주가 희석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정부 보유 지분은 65.7%(19조7천억원)에 이른다"고 꼬집었다.
우리금융은 "인수 후 양도세를 부담하지 않는 적격 합병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도 최소 2년이 경과해야 한다"며 "우선 산은금융이 우리금융 합병 후 정부 지분 하락 효과를 보려면 최소 3년이 지나야 하며 합병 후 산은금융의 정부 지분 19조7천억원과 우리금융 합병으로 인한 자사주 9조5천억원 등을 매각하는 데는 20년 이상 걸린다"고 주장했다.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이 합쳐 글로벌 은행이 탄생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두 은행을 합병해봐야 자산규모가 50조원으로 글로벌 순위가 54위로 50위권에 들지 못한다"며 "합병 시 동일인 한도 등으로 기업 고객이 빠져나가면 자산규모는 더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낮은 신용등급으로 자금을 조달해 등급이 높은 자산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고 대형 프로젝트의 파이낸싱은 여전히 쉽지 않다"며 "관치금융과 정부 간섭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내 금융산업 현실을 감안할 때 국책은행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요원하다"고 덧붙였다.
우리금융은 특히 "산업은행과 우리은행 간 합병은행은 국내 주채무계열 37개 가운데 23개를 맡아 국내 대기업시장의 70%를 점유한다"며 "이는 국책은행을 통한 금융지원이 간접적인 보조금 지급으로 간주돼 주요 국가 통상마찰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금융은 "경제규모에 걸맞은 대형 리딩뱅크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민간 자율성과 창의성에 바탕을 두고 시장경쟁력을 갖춘 대형 민간은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