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정관계 로비를 담당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금융 브로커가 검거되고 저축은행 관련 의혹에 일부 고위급 인사들이 연루된 정황이 포착되면서 검찰 수사가 감독기관을 넘어 정관계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는 부산저축은행그룹 대주주와 임원들이 차명 대출로 빼내 조성한 수백억원대 비자금 중 일부를 금융당국과 정치권 로비에 사용한 정황을 포착하고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검찰은 정관계 로비의 핵심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알려진 금융 브로커 윤모씨를 지난 17일 전격 체포해 구체적인 로비 경위 등을 추궁하고 있다.
검찰은 수사가 진행 중인 다른 저축은행들에도 고위관료 출신 인사 등이 사외이사, 감사 등으로 등재돼 활동해온 점에 무게를 두고 이들이 로비 역할을 맡았는지도 살펴보고 있다.
보해저축은행 비리를 수사 중인 광주지검은 이른바 ‘이용호 게이트'의 장본인인 이용호(수감)씨가 이 은행에서 142억원을 담보도 없이 대출받은 사실을 확인하고 경위를 파악 중이다.
김대중 정부 시절 정치인과 검찰총장 동생 등이 연루된 권력형 비리 사건인 '이용호 게이트'를 낳게 한 이씨는 2001년 9월 구속기소돼 5년 6개월을 복역한 뒤 재심을 청구해 2007년 3월 형집행정지로 풀려났다. 이씨는 또 다른 사기 사건 재판과 재심에서 징역형이 확정돼 서울구치소에서 수감 중 이번 조사를 받기위해 최근 광주교도소로 이감됐다.
서울중앙지검은 2천억원에 가까운 불법대출을 저지른 삼화저축은행의 대주주로 정관계 인사들의 로비창구 역할을 해온 의심을 받는 금융브로커 이모씨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검찰은 예금 특혜인출 의혹에도 고위급 인사가 관련된 정황을 포착하고 경위 파악에 나섰다.
검찰은 지난 16일 사의를 표명한 정창수 전 국토해양부 1차관이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 은행에 본인과 가족 명의로 분산 예치했던 2억여원의 예금을 금감원의 영업정지 방침이 정해진 지난 1월25일 이후 중도 인출한 사실을 확인하고 인출 경위를 확인하고 있다.
검찰은 정 전 차관이 부산저축은행그룹 계열은행의 영업정지 결정에 관한 사전 정보를 입수해 예금을 인출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전 차관은 "저축은행의 안전성에 의문이 들어 만기 이전에 예금을 인출한 것일 뿐 영업정지에 관한 사전정보를 입수해 미리 돈을 뺀 것은 아니며 예치한 금액도 예금자 보호 한도 이내여서 무리하게 인출할 이유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검찰은 또 사전에 영업정지 정보를 입수했을 가능성이 큰 고위층 예금인출자가 있을 것으로 보고, 4천여명에 달하는 5천만원 이상 고액인출자와 차명 예금주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