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주간연속 2교대제 및 월급제 도입을 놓고 유성기업의 노사 대립이 시작됐고 지난 18일 노조가 라인을 점거하고 파업을 시작하자 사측은 아산공장과 영동공장에 대해 직장폐쇄 조치를 취하면서 생산이 전면 중단됐다.
유성기업이 완성차업체들에 납품하고 있는 자동차 부품은 피스톤링, 캠 샤프트, 실린더라이너 등 엔진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으로, 현대기아차와 한국지엠은 각각 전체 물량의 70%, 르노삼성 50%, 쌍용차는 20% 가량을 유성기업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다.
현재 기아차 소하리공장 카니발라인에서 피스톤링의 재고가 바닥나면서 지난 20일 야간근무조부터 생산이 중단된 현대기아차는 유성기업의 생산이 정상화되지 못할 경우 오는 24일이나 25일부터 전면적인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부평, 군산, 창원에 있는 엔진공장에서 피스톤링의 70%를 유성기업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한국지엠은 일주일분 정도의 재고가 남아있지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생산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대책을 마련 중이다.
르노삼성은 부산공장의 SM5 2.0 모델에 들어가는 엔진 부품 캠 샤프트의 100%를 유성기업에서 공급받고 있으며, 현재 재고여유분은 4일밖에 되지 않아 내주 중에는 생산 차질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쌍용차의 경우 7월 중순까지 재고가 남아있어 비교적 여유가 있는 편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유성기업 파업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해외시장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는 한국 완성차업체들이 큰 타격을 받고 연관 산업까지 피해를 입을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