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도지사, 이철 코레일(한국철도공사) 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라자호텔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환승할인제(이하 통합요금제) 시행을 위한 공동 합의문'을 채택한다.
이번 공동 합의는 지난해 12월 서울.인천.경기 등 3개 시.도지사가 수도권 광역현안에 대한 정책 공조를 밝힌 지 6개월 만에 내놓는 후속 실행계획이다.
합의안에 따르면 7월1일부터 교통카드로 서울시와 경기도의 일반형 시내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중 어느 교통편을 이용하더라도 통행 거리를 합산해 기본구간(10㎞ 이내)에서는 900원만 내고 10㎞를 초과하면 5㎞마다 100원씩 추가로 내면 된다.
예를 들면 경기도 수지에서 강남역까지 올 경우 지금은 2천200원(경기 일반버스+ 지하철)이 들지만 앞으로는 1천300원만 내면 된다.
시는 서울-경기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서울과 경기도 및 경기도 지역 내를 오가는 6천770대(일반형 시내버스 5천533대, 마을버스 1천237대)의 버스를 이용하는 1일 평균 83만건(1인당 평균 650원)의 승차가 새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서울과 경기 지역 광역(좌석)버스와 인천버스는 이번 통합요금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시 관계자는 "광역버스는 시스템구축과 요금체계 기준이 마련되는 대로 빠른 시일 내 통합 요금제가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인천시는 현재 인천버스 간 시행하고 있는 무료환승제 등이 정비되면 통합요금제에 동참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통합요금제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환승손실금은 버스회사의 관할 지자체가 부담하기로 했으며 경기버스와 수도권 전철 간 환승에 따라 발생하는 환승손실금은 경기도가 코레일 손실의 60%를 보전하기로 했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통합요금제의 경기도 확대 시행에 따라 앞으로 표준형 교통카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으며 시계 주요 교통축에 환승센터의 건설도 추진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지역 내 교통네트워크 확충을 위해 시도 내에서 버스와 수도권 전철과의 연계시스템을 우선 구축하기로 했다.
또 전철역까지 연결되는 도로 개설 및 버스노선 신설.변경을 통해 버스 이용수요를 전철로 분산시키는데 노력하고 버스 색상과 노선번호체계를 상호 협의.조정하기로 했다.
이 밖에 2009년 상반기부터 7년 이상된 경유사용 자동차 중 총 중량 3.5t 이상인 노후 대형 경유차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등 저공해화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대기관리권역에서 운행을 제한하며 승용차 요일제는 내년 중에 전자태그를 이용한 선택요일제로 전면 확대 시행하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