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애물단지’로 전락한 와이브로(휴대인터넷)에 대한 정책을 전환키로 한 가운데 기존 와이브로 이용자들 사이에서 볼멘소리가 늘어나고 있다.
‘연결이 어렵고 속도가 느리다’, ‘음영지역이라 접속이 안 된다’는 등의 불만을 제기해도 통신사들이 개선의 여지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올 한해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에 제기된 와이브로의 먹통 서비스 소비자 불만 건수도 50여건에 달한다.
하지만 통신사들은 '음영지역이 있을 수 있다'는 안내를 했기 때문에 14일이 지나면 무조건 위약금을 부과한다.
더욱이 정부마저 ‘와이브로 육성정책’에서 발을 빼고 통신사들 역시 신규 투자를 중단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가입자들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
SK텔레콤 와이브로를 이용하는 인천 계양구 계산동 윤 모(여)씨. 최근 와이브로 신호가 잘 안 잡혀 통신사 고객센터로 문의했지만 기기 이상이라는 안내를 받았다.
제조업체로 AS를 의뢰했지만 이상이 없어 다시 통신사로 신호점검을 요구했다. 기사로부터 신호가 잘 안 잡히는 곳이라는 확인을 받았지만 통신사 측은 기지국을 설치할 수 없으니 기다리라는 말뿐이었다.
쓰지도 못하고 요금만 내고 있어 해지를 요구하니 “처음 14일 이내에 문제제기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위약금을 물라”고 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사는 남 모(남.34세)씨는 “와이브로를 판매할 땐 각종 마케팅으로 소비자의 눈을 현혹시키더니 불과 몇 년 만에 개발 중단 및 서비스 종료 수순을 밟고 있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KT의 와이브로를 구매한 남 씨는 잘 쓰지 않아 서랍 속에 보관만 하다가 이사를 오면서 쓰려고 했지만 접속이 되지 않았다. 남 씨가 거주하는 곳이 음영지역이라 사용이 불가능했던 것.
통신사로 도움을 요청했으나 더 이상 개발 계획도 없다는 말만 돌아왔다. 이의를 제기해도 한 달이 넘도록 감감무소식이었다.
남 씨는 “2G 서비스도 일방적으로 종료해 여러 사람에게 피해를 주더니 이번엔 와이브로 서비스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미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