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입자동차협회(회장 정재희)는 21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페럼타워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비전’을 주제로 ‘KAIDA 오토모티브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는 이형철 한양대 교수, 아베 시즈오 토요타 상무이사, 타카하시 오사무 PEVE 상무이사, 김재산 만도 상무 등 국내외 학계, 업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다양한 기술 및 향후 전망에 대한 발표와 패널 토론,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그는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이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로 넘어가기 전 잠시 존재했다 없어지는 기술이 아니냐’는 지적에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 교수는 “하이브리드가 기술적으로는 전기차보다 좀 더 높고, 복잡한 기술”이라면서 “과도기적 기술이라는 것에는 동의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오히려 전기차는 정부 보조금이 없다면 가격 경쟁력이 상당히 낮고 불편한 부분이 많다”면서 “게다가 만약에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가 된다면 지금보다 발전량이 두 배가 돼야 하는데, 원자력 발전소를 없애고 화력발전도 줄여야 한다고 말하는 현재 사회 분위기에 맞는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일반 대중들이 차량 기술 경쟁을 스포츠처럼 여기는 경향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가 사용률이 8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화석연료가 고갈되면 인류의 생존에 위협이 되고, 자동차 동력원 전환 문제에 대해서도 그렇게 쉽게 예측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친환경차에 대해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 등 시대의 요구는 다양해지고 있다”면서 “다만 현재 상황에서는 하이브리드를 확산시켜 나가는 것이 환경 보호를 위한 최선의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상무는 현재 15% 정도인 토요타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다.
또한 이형철 교수는 업계에 관심을 받고 있는 디젤 하이브리드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의 한계가 우선 해결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즉 기술 보다는 가격이 걸림돌이라는 지적이다.
이 교수는 “디젤 자동차와 가솔린 하이브리드를 만드는 회사는 1~2년 정도 개발을 거치면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없다”면서 “다만 가장 큰 문제는 가격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차종 등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가솔린차보다 디젤차가 200만 원 정도 비싸고,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차보다 500만 원 정도 비싸다”면서 “즉, 디젤 하이브리드는 700만 원 정도 비싸다는 계산이 나와 디젤 하이브리드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베 상무 역시 “디젤차와 하이브리드차를 조합했을 때 소비자들이 원하는 성능 대비 가격으로 공급하는 게 쉽지는 않을 것”이라면 덧붙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