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인도, 러시아, 중동 등 해외에서 온, 오프라인으로 거래된 위조 부품과 불법 유통 부품의 규모는 100억 원에 달한다. 그 종류도 필터와 벨트류, 브레이크 패드 등 소모성 부품부터 업소버 등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부품까지 다양하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36억 원으로 가장 많고, 러시아 29억, 중동 25억 순이었다. 이들 국가는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은 낮은 반면, 최근 완성차 판매가 늘면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베이징ㆍ상하이ㆍ장쑤 3개 부품법인과 합동으로 중국 전역 16개 도시에서 총 10여 차례 짝퉁 부품 단속을 실시해 불법 유통업체 69개소를 적발했다. 위조 부품이 지방 소도시까지 퍼져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현지 시장관리국과 공조해 합동 단속을 벌였다.
베트남은 국내 완성차 업체의 생산 거점이 없지만 모조 부품 유통은 활발한 곳이다. 베트남에서 제조한 모조품 뿐 아니라 중국, 인도에서 제조된 짝퉁 부품도 유입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들어오는 위조품은 순정품보다 75% 가량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하반기 베트남에서 가장 큰 자동차 부품시장이 형성돼 있는 하노이 지역을 단속한 바 있으며 향후에도 관계 당국과 협조해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같은 짝퉁 부품의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순정부품에 비해 위조 부품은 취약한 내구성으로 인한 차량의 성능 저하와 이에 따른 사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짝퉁 부품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노력도 요구된다.
우선 소비자 입장에서는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는 부품은 일단 의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부품을 교환하는 정비업체가 순정품을 취급하는 공식 업체인지 확인하고 부품 교환시 순정품 홀로그램 등 정품 여부를 정비 업체측에 꼼꼼히 물어보는 적극성도 필요하다.
이밖에도 자동차 점검이나 정비시 견적서 등을 미리 받아두고 향후 문제 발생시 증빙 자료로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