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전기차 보조금 지원 방식이 일괄지급에서 1회 충전 주행 가능거리나 전비(㎞/kWh) 등에 따른 차등지급으로 변경될 전망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어느 모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이 달라지게 돼 앞으로 전기차를 고를 때 에너지효율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환경부는 ‘주행 거리나 전비 등에 따라 보조금 금액을 달리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침을 이달 발표할 예정이다. 즉 내년부터는 전기차의 에너지 효율과 배터리 용량 등에 따라 보조금 액수가 달라지는데, 이는 지난 2013년 전기차 민간 보조금 지원을 시행한지 6년 만의 변화다.
아울러 보조금 지급 방법도 일부 바뀐다. 지금까지는 해당 연도에 전기차 출고가 안 되더라도 최대 이듬해 2개월까지는 보조금 지급을 유예토록 했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실제 출고 순서대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일부 업체가 차량 인도 없이 보조금을 선점하는 것을 근절하기 위해서다.

반면 현대차 아이오닉 전기차는 전비는 6.3km/KWh로 높은 편이지만,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가 191km로 볼트 EV의 절반수준에 그친다.
또한 국내 소비자들에게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테슬라 모델S의 경우에도 주행거리가 360~451km로 높게 형성돼 있지만, 전비는 3.9~4.3km/KWh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닛산 리프, BMW i3, 기아차 쏘울 EV 역시 전비는 5.2~5.9km/KWh로 평균 이상이다. 그러나 200km에 못 미치는 주행거리가 약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밖에도 올해 출시된 르노삼성 트위지의 경우 높은 전비를 갖췄지만, 짧은 주행거리와 승차정원에 발목을 잡힐 가능성이 높다.
업계의 관계자는 “현재까지 상황을 봤을 때 한국지엠 볼트 EV가 보조금 경쟁에서 가장 유리한 입장인 것은 사실”이라면서 “문제는 내년에 얼마나 많은 물량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제때 고객 인도가 되지 않으면 보조금 혜택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
볼트(Bolt) EV는 올해 사전계약만으로 600여대가 완판됐는데, 실제 고객에게 전달된 차량은 7월까지 335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각에서는 환경부의 전기차 보조금 제도 변화가 전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테슬라를 견재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일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테슬라 전기차의 경우 1회 주행거리는 타 모델 대비 월등히 높지만 전비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한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환경부가 6년 만에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일괄 지급에서 차등 지급 방식으로 바꿀 전망”이라면서 “테슬라의 독주를 막아 현대‧기아차, 한국지엠 등 국산 전기차를 보호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울러 전기를 태양광 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이 분야의 행정과 기술연구 지원이 같이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