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신세계그룹, 대기업 최초 ‘주 35시간’ 근무제 도입…월급은 그대로
상태바
신세계그룹, 대기업 최초 ‘주 35시간’ 근무제 도입…월급은 그대로
  • 유성용 기자 sy@csnews.co.kr
  • 승인 2017.12.08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세계그룹이 내년 1월부터 대기업 최초로 근로시간을 주 35시간으로 단축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정 근로시간은 주 40시간으로, 주 35시간 근무는 유럽 및 해외 선진기업에서나 볼 수 있는 근무형태다.

신세계그룹의 주 35시간 근무제는 대한민국 대기업 최초로서 유통업계는 물론 국내 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대한민국의 연간 근로시간을 OECD 선진국 수준인 1천800시간까지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세계의 이번 조치는 선도적 사례로 주목될 것으로 보인다.

OECD발표에 따르면, 대한민국 연간 근로시간은 2천113시간으로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길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jpg
▲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
주 35시간 근로제가 시행되면신세계 임직원은 하루 7시간을 근무하게 되며, 오전 9시에 출근해 오후 5시에 퇴근하는 ‘9-to-5제’를 시행하게 된다.

또 업무 특성에 따라 8시 출근 후 4시 퇴근, 10시 출근 후 6시 퇴근 등으로 유연하게 적용하며 점포의 경우 근무스케줄을 조정해서 전 직원의 근로시간이 1시간씩 단축된다.

장시간 근로, 과로사회로 대표되는 대한민국 근로문화를 획기적으로 혁신해 쉴 때는 제대로 쉬고 일할 때는 더 집중력을 갖고 일하는 기업문화를 만들겠단 얘기다.

신세계 근로시간 단축의 가장 큰 특징은 임금 하락 없는 근로시간 단축이라는 것이다. 매년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임금인상 역시 추가로 진행된다.

국내 대다수의 기업들이 근로시간 단축의 필요성을 공감하면서도 임금 하락 이슈에 대한 합의점을 찾지 못해 섣불리 시행하지 못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신세계그룹은 근로시간이 OECD 선진국 수준으로 단축되는 만큼 선진 근무문화 구축을 통해 업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계획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이번 근로시간단축은 2년 전 부터 체계적으로 준비해온 장기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라며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장시간 근로문화를 개선해 임직원들에게 ‘휴식 있는 삶’과 ‘일과 삶의 균형’을 제공하고, 선진 근로문화를 정착시키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마트 등의 경우 영업시간 단축을 병행해, 근로시간 단축 혜택을 파트너사와도 함께 나눔은 물론 중소상인과의 상생에도 적극 앞장설 예정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