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발행어음업 발목잡힌 미래에셋대우, 종합투자계좌업무서 돌파구 찾을까?
상태바
발행어음업 발목잡힌 미래에셋대우, 종합투자계좌업무서 돌파구 찾을까?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17.12.18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에셋대우(대표 최현만·조웅기)의 발행어음 사업인가 심사가 금융당국에 의해 잠정 보류됐다. 이에 따라 미래에셋대우는 발행어음업 대신 자기자본 8조 원 이상 사업자에게 주어지는 '종합투자계좌(IMA)' 업무를 먼저 개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에셋대우 측은 이번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 확충으로 자기자본을 활용한 글로벌 M&A를 추진하고 국내외 우량자산 투자를 확대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고 IMA 사업추진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1218001.jpg
미래에셋대우는 금융당국으로부터 지난 7월 금융당국에 신청한 발행어음 사업 인가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서면 자료요청 등 조사 진행으로 인가심사가 보류될 것이라는 사실을 지난 15일 통보받았다.

'대주주를 상대로 형사소송 절차가 진행되고 있거나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및 검사가 진행되고 그 내용이 인가 심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경우 조사 및 검사가 끝날 때까지 심사를 보류한다'는 자본시장법 시행규칙 38조에 따른 조치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국정농단 관련 재판으로 발행어음 사업인가가 보류된 삼성증권(대표 윤용암)과 같은 케이스다.

미래에셋대우 측은 계열사간 내부거래에 대해 공정위가 전반적으로 조사하고 있어 심사가 보류됐다고 전했다. 이전부터 제기됐던 미래에셋그룹 계열사 간 일감몰아주기 의혹이 원인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가족이 지분 91.86%를 보유한 미래에셋컨설팅은 블루마운틴CC와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사모펀드(PEF)를 통해 소유한 포시즌스호텔을 운영하고 있는데 사실상 미래에셋그룹에서 운용하는 펀드에서 파생되는 일감을 박 회장 일가에게 몰아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문제는 미래에셋컨설팅이 지난 7월 블루마운틴 컨트리클럽(CC) 운영권을 박 회장 지분이 없는 자회사인 와이케이디벨롭먼트에 넘겨 공정거래법상 일감몰아주기 규제대상에서 벗어났다. 하지만 오너가 간접적으로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도 일감몰아주기 규제대상에 포함해야한다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발의된 상황이라 논란의 여지가 있다.

결과적으로 발행어음업 인가가 보류되면서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종합투자계좌(IMA) 업무 조기 개시로 입장을 선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셈이다.

IMA 업무는 자기자본 8조 원 이상 종합투자사업자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레버리지 규제대상에서 제외되고 기업금융 의무비율(70%)이 있는 점은 발행어음업과 유사하지만 발행제한이 없고 별도 인가도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우선 미래에셋대우는 외형적으로 IMA 사업자가 될 조건을 갖춰가고 있다. 9월 말 기준 자기자본은 약 7조3천억 원이고, 여기에 5천억 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연간 순이익을 감안하면 늦어도 내년 초에는 자기자본 8조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게다가 미래에셋대우는 내년 1분기까지 약 7천억 원 상당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우선주 130,842,000주를 신주발행하는 방식인데 미래에셋대우 측은 확충된 자기자본을 활용해 글로벌 M&A를 추진하고 국내외 우량자산 투자를 확대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며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해 한국경제의 ‘혁신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1218002.png


하지만 발행어음업을 건너뛰고 바로 IMA 사업에 뛰어드는 데 대한 부담은 남아있다. 정부의 초대형 IB 육성사업의 취지대로라면 자기자본 4조 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에게 주어지는 발행어음업을 거친 뒤 IMA 업무를 하는 것이 정석이다.

게다가 공정위 조사까지 받게 된 상황에서 미래에셋대우가 곱지 않은 시선을 받으면서까지 조급하게 IMA 사업으로 뛰어들 명분이 없다는 반론도 있다. 미래에셋대우도 이번 유상증자가 IMA 사업추진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자기자본 8조 원을 돌파한다고 해도 자금조달 및 운용여력을 비롯해 인프라도 갖춰야 한다는 점에서 조급하게 시작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면서 "기존에도 IMA 도입에 대한 부정적 여론까지 있던 점에서 현 상황에서는 초대형 IB로서의 역할은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