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식 전 금감원장이 민간출신으로 특혜채용에 연루됐기 때문에 차기 금감원장은 관료출신이 될 것이란 예상이 있었지만 사실상 민간출신 인사를 단행했다.

김기식 전 의원은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시절 노동운동에서 시작해 소액주주운동 등 대기업 개혁, 총선시민연대로 대표되는 정치개혁운동, 해외파병 반대 운동 등 시민운동을 주도해왔다.
1990년대 초반 한국 사회에 ‘시민운동’이라는 개념이 없던 시절 김기식 전 의원은 참여연대를 창립하고 사무국장, 정책실장, 사무처장, 정책위원장을 역임했다.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객원연구원, 2011년 박원순 서울시장 선거대책위원회 전략기획 특별보좌관을 지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로 국회의원 자리에 올랐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소관하는 정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하면서 '정무위원회의 저승사자'라고도 불렸다.
국회 재직 시절 대표법안은 금융회사지배구조법이다. 금융회사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제2금융권까지 확대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하는 법이다. 금융회사지배구조법을 통해 금융위원회는 모든 금융회사의 대주주의 자격 요건 유지여부를 심사해 자격 미달 시에는 시정명령이나 의결권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됐다.
이 때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도 도입됐다. 임추위는 그간 금융위가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으로 운영해 왔던 것으로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만 적용하고 제2금융권은 중장기 과제로 남겨뒀던 것을 의무규정으로 포함 시켰다.
김기식 전 의원이 금감원장으로 내정된 이유는 이러한 '개혁성'에 금융위가 높은 점수를 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금감원이 추진 중인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혁의 토대를 만든 사람이 김 전 의원인 만큼 가장 무리없이 현재 추진 중인 금융회사 개혁을 이끌 수 있는 적임자라는 판단이 있었을 것이란 추측이다.
민간 출신 금감원장 실험을 성공시키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김기식 전 의원은 현재 더미래연구소장으로 근무 중인 민간출신 인사다. 최흥식 금감원장에 이어 2회 연속 민간 출신 원장이 금감원을 이끌게 되는 상황이다. 실제 청와대는 민간 출신의 금융 전문가가 금감원장으로 와야 금융권과 금융 감독시스템의 대변혁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내부의견을 갖고 있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 정권이 최흥식 원장을 금감원장으로 임명하면서 민간 출신을 중심으로 금융권 적폐청산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였던 만큼 이번에 관료 출신을 선택하면 개혁 의지가 한발 후퇴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는 점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기식 전 의원이 금융회사 개혁의 적임자로 평가되고는 있지만 전문성이 떨어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김 전 의원은19대 국회의원 시절 금감원과 금융위 정무위원회로 활동한 이력이 있지만 그 외에는 금융관련 실무이력이 없어 전문성이 높다고 보기는 힘들다.
문재인 정권의 노골적인 코드인사라는 지적도 나온다. 김 전 의원은 참여연대 창립멤버에다 박원순 서울시장 선거대책위원회 전략기획 특별보좌관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로 국회의원에 올랐다. 올해 초까지 타 언론사에서 '김기식 칼럼'을 연재했는데 문재인 정권의 최저시급 인상에 대한 찬성논리를 적극적으로 설파하기도 했다.
한편으로 의정활동 시절 정무위원회 저승사자로 불릴 만큼 일을 많이 하고, 열심히 하기로 유명한 김 전 의원이기 때문에 금감원장 직무에 있어서도 돋보일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