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대제 한국블록체인협회장은 실물경제에서 블록체인경제로의 '패러다임 시프트'가 발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생태계 육성과 정부 규제의 미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적극적인 개선을 주장했다.
진 회장은 25일 오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에서 찾는 중소벤처기업의 새로운 기회' 포럼에서 이 같이 밝히고 블록체인은 적극 육성해야할 요소 기술이라는 점에서 생태계 육성 및 정부 규제와 육성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블록체인은 여전히 한계가 있지만 최근 실물경제에서 블록체인 경제로의 패러다임 시프트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것을 고려해야한다"면서 "블록체인 기술 참여자에 대한 보상과 공유, 투자자 보호 문제,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 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일부 암호화폐의 과열 거래로 인한 문제점이 대두되면서 규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점에서 규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장을 밝혔다.
진 회장은 "대다수 코인 매매거래는 블록체인과 무관하고 코인의 가수요로 인한 투기성 매매가 빈번하고 있지만 분쟁발생시 책임 주체의 부재, 불법자금 세탁 등의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며 "주요 국가에서도 암호화폐를 투기성 금융자산으로 인식하고 규제를 가하고 있지만 블록체인은 적극 육성해야할 요소기술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탈중앙화, 스마트컨트랙, 위변 및 해킹불가 등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통해 송금 서비스, 사물인터넷 등 응용 가능한 산업 분야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 블록체인 기술의 제한 요소 또한 극복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월마트의 경우 식품 원산지 추적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소비자 신뢰도를 높이고 있고 '글로벌 무역 디지털 플랫폼(GTD)' 역시 물류무역 프로세스에서 혁신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블록체인 기술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진 회장은 "블록체인 자체가 아직도 불편하고 느리다는 점에서 속도, 확장성, 보안, 용량 등 편리성과 유연성이 필요하고 거래소 자율규제나 기술인력 양성 등 건전한 생태계 육성도 시급하다"면서 "암호화폐의 정의, 거래소 보안문제, ICO 허용 여부 등 정부의 규제 및 육성정책의 조기 정립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