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29일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대법원 선고가 끝난 뒤 반성과 재발 방지를 다짐하며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도움과 성원을 부탁하는 내용을 담은 입장문을 발표했다.
삼성은 2016년 하반기 국정농단 의혹 사건이 시작된 이후 3년여 동안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 기소, 1심 실형 판결, 2심 집행유예 판결 등 굵직한 일들이 있었지만 공식적인 입장은 한 번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삼성은 대법원 선고를 계기로 국민들에게 반성의 뜻을 밝혀 과거의 관행과 잘못에 대해 선을 긋고자 한 것으로 보여 진다.
또 국정농단 사건 이후 한 사건에 대한 수사가 새로운 수사를 낳고 수사결과도 나오기도 전에 경영진이 여론재판의 피의자 신분이 돼 리더십이 마비되는 악순환에 대한 답답함과 위기감을 호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삼성은 내부에서 느끼는 위기감이 바깥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해 ‘위기를 돌파할 기회를 달라’고 호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전해진다.
2016년 하반기 국정농단 의혹 사건이 시작된 이후 3년여 동안 삼성은 무수한 압수수색과 관계자 소환, 이재용 부회장과 미래전략실 수장들의 구속,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수사, 이명박 전 대통령 사건 관련 압수수색 과정에서 파생된 노조 수사 등 꼬리에 꼬리를 무는 수사가 이어지며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삼성 측은 현재 사기가 저하된 가운데 실적 악화, 일본 수출 규제, 미중 무역 갈등 격화 등이 겹치는 ‘퍼펙트스톰’을 맞았다고 밝혔다.
그간 삼성의 성장 전략은 ‘위기’를 선제적으로 포착해 기회로 전환하는 방식이었다. 과거 세계 휴대폰 시장을 장악했던 노키아도 스마트폰이 등장하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삼성전자는 시장의 격랑을 헤치고 세계 1위로 도약한 전례가 있다.
오너의 비전과 경영진의 실행력, 직원들의 ‘할 수 있다’는 도전 정신이라는 삼성 고유의 ‘핵심 경쟁력’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삼성 관계자는 “최근의 실적 악화와, 수출 규제, 무역 갈등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오너의 비전과 경영진의 실행력, 임직원들의 도전정신이 필요로 하지만 꼬리에 꼬리를 무슨 수사와 압수수색으로 오너와 경영진, 임직원들 모두가 위축돼 있다”고 전했다.
과거처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동력이 모이지 않는 상황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삼성이 이례적으로 이 부회장 재판과 관련한 입장문을 처음으로 밝힌 것으로 보인다.
지금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아예 도태될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제대로 맞서 이겨낼 수 있도록 ‘기회를 달라’고 호소하고 셈이다.
재계 관계자는 “리더십 위기 등으로 3년여 시간 동안 미래 준비에 부실했는데 총수부채 상황이 또다시 이어지면 파국을 맞을 수 있다는 절박감에 반성과 재발 방지를 다짐하면서 제대로 일할 기회를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