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CGV, 할리우드 작품 개봉 덕에 2분기 매출 1617억 원 기록
상태바
CGV, 할리우드 작품 개봉 덕에 2분기 매출 1617억 원 기록
  • 최형주 기자 hjchoi@csnews.co.kr
  • 승인 2021.08.06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J CGV가 6일 공시를 통해 올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1617억 원, 영업손실 57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2분기 매출은 ‘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 ‘크루엘라’ 등 할리우드 기대작들이 연이어 개봉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88.7% 증가했다.

상영 매출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 및 운영 효율화에 힘입어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대폭 줄어들었다.

국가별로 세분화해서 살펴 보면 우선 한국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신작 영화의 꾸준한 개봉에 힘입어 관객이 증가했고 적자폭도 크게 줄였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집계에 따르면 4월 전국 관객 수는 256만 명, 5월 438만 명, 6월 492만 명을 기록하며 매월 증세 추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CGV의 국내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741억 원을 기록했고, 영업손실은 40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폭을 크게 줄였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2분기 영업이 중단됐던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경우 올해는 속속 영업을 재개하며 영업적자를 대폭 개선했다.

중국은 지난해 2분기 29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올해 2분기에는 15억 원의 적자에 그쳤다. 청명절과 노동절 연휴에는 코로나19 이전 관객수를 뛰어넘으며 실적 반등의 모멘텀을 마련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컨저링3: 악마가 시켰다’ 등 할리우드 콘텐츠가 실적을 견인해 56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손실은 전년 동기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 46억 원을 기록했다.

베트남은 5월 중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일부 극장 영업을 중단하면서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매출은 1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8% 증가했지만, 영업손실은 20억 원을 기록했다.

터키는 현지 방역당국의 영업중단 명령이 장기화되면서 지난해와 같은 매출 공백이 이어졌다. 매출 2억 원, 영업손실은 41억 원에 달했다. 다만 영업중단 기간 중 임차료 감면으로 영업손실 폭을 크게 줄였다.

CJ CGV의 자회사 CJ 4D플렉스는 미국, 유럽 등 해외 극장 대부분이 운영을 재개하면서 매출 회복세를 보였다. 4DX에 특화된 할리우드 콘텐츠도 개봉하면서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 매출은 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2.9% 늘었고, 영업손실은 25억 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처럼 CJ CGV는 2분기에도 여전히 적자를 기록했지만 매 분기 적자폭은 줄어드는 추세여서 3분기 턴어라운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CGV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고 있고, 지속적인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통해 매출이 회복되면 영업 손익이 크게 개선되는 프로세스를 구축한 점도 향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최형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