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자가진단키트 온라인 판매 제한하자 편의점 재고 동나고, 일부 약국 두세배 가격 부풀려 판매
상태바
자가진단키트 온라인 판매 제한하자 편의점 재고 동나고, 일부 약국 두세배 가격 부풀려 판매
정부 정책에도 마스크 대란 닮은 꼴
  • 황혜빈 기자 hye5210@csnews.co.kr
  • 승인 2022.02.14 14: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경기 군포시에 사는 임 모(남)씨는 지난 3일 동네 약국에서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를 2만5000원에 구매했다. 이틀 후 추가 구매를 위해 다른 약국에 방문하자 같은 브랜드 자가진단키트인데 1만3000원에 구매할 수 있었다. 임 씨는 “같은 자가진단키트인데 1만2000원 차이는 심한 것 아닌가. 가격표가 일정하게 붙어있는 것도 아니다 보니 소비자만 가격이 더 비싼 것도 모른 채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 서울 강남구에 사는 이 모(여)씨는 지난 12일 온라인몰에서 주문했던 자가진단키트가 일주일이 지나도 오지 않아 따로 구매하기 위해 동네 편의점 5곳을 돌아다녔다. 가는 곳마다 자가진단키트 재고를 확인했지만 “없다”는 안내뿐이었다고. 이 씨는 “일반인은 코로나19 검사를 자가진단키트로 직접 해야 하는데 도대체 어디서 구매할 수 있는 건지 모르겠다”며 “가격을 올려 팔더라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구매할 수밖에 없는데 구할 수도 없으니 불편만 가중되고 있다”고 분개했다.
 

▲약국에서도 자가진단키트의 가격이 제각각이었다. 
▲약국에서도 자가진단키트의 가격이 제각각이었다. 

정부가 13일부터 편의점과 약국에서만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를 판매하기로 한 가운데, 편의점 재고 부족과 일부 폭리를 취하는 약국에 대한 소비자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14일 오후 기준 서울 강남구 기준으로 여전히 대부분 편의점 점포에 자가진단키트 물량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편의점 앱을 통해 자가진단키트 재고 현황을 살펴보면 강남구 내 CU 전체 170곳 중 재고가 남은 곳은 단 12곳에 불과했다. 세븐일레븐도 재고가 있는 점포는 10곳 내외였다. 

약국의 경우 가격을 올려 판매하는 경우가 횡행했다. 같은 브랜드의 자가진단키트인데도 가격이 제각각이었다. 

소비자들은 이 같은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고위험군이 아니면 자가진단키트를 직접 구매해 스스로의 상태를 진단해야 하는데, 이조차 제대로 할 수 없다며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제2의 마스크 대란이라는 이야기도 터져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초기 마스크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지자 일부 업자들이 폭리를 취하고 파는 경우가 다발했다.

당시 정부는 마스크 수급 안정을 위해 ‘공적 마스크 제도’를 내놨다. 약국 등 지정된 장소에서 정해진 날에만 제한된 개수 내에 마스크 구매가 가능했다. 몇 배로 뛰었던 마스크 가격은 1500원으로 고정됐다.

이번에도 정부는 자가진단키트 수급 불안정에 따른 폭리 등 문제가 다발하자 13일부터 온라인 판매를 금지하고 편의점과 약국에서만 판매를 허용했다. 1인당 5개까지 구매 개수를 제한하기도 했다.

또한 14일부터 2주 간 약국과 편의점에 자가진단키트 3000만 개를 추가 공급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자가진단키트에 대한 '최고가격제' 도입을 검토하겠다고도 했다. '최고가격제'는 가격 폭등 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일정 가격 이상으로 판매할 수 없도록 정부가 통제하는 제도다. 

오프라인에서 구하기 어려워 온라인몰에서 가까스로 자가진단키트를 주문했지만, 갑작스러운 정부 지침으로 인해 일방적으로 주문 취소당했다는 불만도 다발했다. 

한 소비자는 “자가진단키트 수요 폭증 등은 정부가 이번 대책을 내놓기 전에 충분히 예측할 수 있는 것이었는데 마스크 대란 때도 그렇고 매번 이런 행정을 되풀이하니 화가 난다”며 “코로나가 벌써 3년째인데, 얼마든지 대비할 수 있는 여력이 되는 국가에서 항상 구체적인 대책 없이 소비자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목소리 높였다.

대한약사협회 관계자는 “자가진단키트의 경우 공산품에 해당하는데 공산품의 경우 정부가 가격을 일률화시키는 경우가 없다”면서 “마스크 대란 때는 정부에서 가격을 동일하게 책정하도록 했지만, 현재 그런 상황이 아니다 보니 품귀 현상에 따른 수급 상황이 판매처마다 다르고 판매가격도 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황혜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