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넥슨·크래프톤 상반기 영업익 7000억 돌파...넷마블도 30% 늘어
상태바
넥슨·크래프톤 상반기 영업익 7000억 돌파...넷마블도 30% 늘어
  • 양성모 기자 ymaria@csnews.co.kr
  • 승인 2025.08.14 0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상반기 게임사 중 매출과 영업이익이 가장 많은 곳은 넥슨(대표 강대현·김정욱)으로 나타났다.

10대 게임사 중에서는 넥슨과 크래프톤(대표 김창한), 컴투스(대표 남재관), 네오위즈(대표 김승철·배태근)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반면 엔씨소프트(대표 김택진·박병무)는 매출이 40% 이상 줄었고 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는 적자전환했다.

14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10대 게임사 상반기 매출은 8조2688억 원, 영업이익은 1조6379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 영업이익은 11% 증가했다.

10대 게임사 중 매출은 5곳이 늘었고 영업이익은 6곳이 증가했다.

상반기 매출이 가장 많은 곳은 넥슨이다. 2328억 엔(한화 2조23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늘었다. 영업이익 역시 7601억 원으로 가장 많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FC 온라인’ 등 기존 타이틀 외에도 3월 말 출시된 ‘마비노기 모바일’의 국내외 흥행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했다.

크래프톤이 1조5362억 원으로 2위다. 주력 타이틀인 PUBG: 배틀그라운드(이하 배틀그라운드) 지적재산(IP) 중심의 성장세가 이어졌다. 매출 증가율은 11.9%로 10대 게임사 중 가장 높다.

넷마블과 NHN도 1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
 
넥슨과 함께 크래프톤도 7000억 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넷마블(대표 김병규)도 31.2% 증가한 1508억 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상반기에 출시된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와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흥행한 결과다. 매출은 1.9% 감소했는데 지난해 상반기에 신작 '나 혼자만 레벨업:ARISE' 실적이 더해진데 따른 기저효과다.

네오위즈는 영업이익 증가율이 47.1%로 가장 높다. 대작 IP인 ‘P의 거짓’에 이어 다운로드가능콘텐츠(DLC) ‘P의 거짓: 서곡’의 연속 흥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엔씨소프트는 신작 부재로 매출이 3%, 영업이익은 41.3% 감소했다. 카카오게임즈와 펄어비스(대표 허진영) 역시 신작 공백이 지속되고 마케팅 집행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감소했다.

위메이드(대표 박관호)는 영업적자 규모가 618억 원에서 399억 원으로  축소됐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양성모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