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 당국자는 15일 "정부의 자원.에너지 외교 강화방안의 하나로 재외공관 인력 재배치와 함께 공관이 없는 에너지 부국(富國)에 재외공관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1순위로 공관 개설을 검토하고 있는 곳은 외환위기 직후 대사관이 폐쇄됐던 카메룬으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이르면 올해 상반기 내에 설치될 것으로 전해졌다.
카메룬은 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우리 나라의 원유 수입량이 가장 많으며 다른 지하자원도 풍부하다.
외교부는 현재 1인 공관 체제로 운영되는 콩고민주공화국과 현재 주변 국가에서 관할하고 있는 콩고, 키르기스스탄 등에도 대사관을 설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아울러 재외공관의 자원외교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2005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에너지 거점공관을 지금의 32개에서 50여개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또 한국석유공사와 한국가스공사, 대한광업진흥공사 등 자원관련 공기업 직원의 해외 공관 근무도 산업자원부 등과 협의해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