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한나라,박근혜와 관계 복원론 급부상..대통령과 회동 검토
상태바
한나라,박근혜와 관계 복원론 급부상..대통령과 회동 검토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4.10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9총선 이후 여권 내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국정의 동반자' 관계 복원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총선 결과 박 전 대표측의 협조 없이 중요한 현안 처리를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청와대와 친이측 내부의 기류 변화가 읽혀지고 있어 국정운영 기조의 변화로 이어질지 여부가 주목된다.


총선 결과가 나온 10일 청와대와 한나라당 핵심 인사들 사이에서는 박 전 대표측과의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담은 '대화 정치', '박(朴) 존재 인정' '협치 모델' 등의 메시지가 잇따라 나왔다.

   친이측 핵심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까지의 틀을 바꿔야 한다"면서 "피아 구분을 하는 정치를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박 전 대표를 인정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면서 "선거는 민심이 절묘하게 의미를 부여해 주는 것이다. 민심을 그대로 받아들여 정치를 해야 한다. 오기를 부리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도 라디오에 출연,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대통령이 경선 후 앞으로 국정을 운영하는데 동반자 관계랄까, 이런 것을 선언했다. 잘 조율해서 하자는 기본 입장이 정리된 게 있다"면서 "그런 정신에 아주 투철해서 앞으로 잘 운영해야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동안 문제가 터질 때마다 `갈등→봉합→갈등 증폭'의 악순환을 거치면서 불신이 상당히 깊게 쌓여 있는 상황에서 실질적 조치 없이는 동반자 관계 복원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동반자' 관계는 지난해 11월 양측간의 갈등이 불거질 당시 이 후보자가 기자회견을 통해 "정권창출 이후에도 박 전 대표와 주요한 국정 현안을 협의하는 정치적 파트너 및 소중한 동반자로서 함께 나아가겠다"고 밝히면서 구상을 드러냈다.

   하지만 친박측 내부에서는 이후 걸맞은 실질적인 조치가 없었다는 불만이 적지 않았고 "대선 과정에서 이용만 당한다"는 불만이 팽배했던 게 사실이다.

   결국 대선 후 1월 공천시기 등을 둘러싼 내홍이 다시 터졌고, 이 대통령 당선인과 박 전 대표의 별도 회동에서 양측이 `공정 공천'에 약속함으로써 갈등은 봉합됐지만 3월 공천 파동을 겪으면서 "국민도 속고 나도 속았다"는 박 전 대표의 격렬한 반응이 터져 나왔다.

   두 사람간 동반자 관계 복원의 1차 관건은 탈당한 친박측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가 될 전망이다.

   청와대 내에서도 이 문제부터 자연스럽게 풀어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 내에 존재하고 있는 계파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 아닌가"라며 "이 대통령이 새로운 통치 모델로 협치(協治)의 개념을 찾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갈등을 풀 사람은 청와대나 당 지도부"라면서 "박 전 대표가 당장 나서서 할 스타일은 아니고, 그들이 해법을 제시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와 함께 7월 전당대회 당권 문제도 양측간 관계 복원의 잣대가 될 수 있다.

   친박측 한 의원은 "당장은 복당 문제가 이슈가 될 것이고, 그것이 어떤 식으로든 처리가 되면 전당대회 문제를 갖고 싸움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들 두 문제의 해법에 따라서 한나라당 갈등의 뇌관인 친이-친박 양측간의 향후 관계가 재설정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조기 회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박 전 대표와의 회동 추진 가능성에 대해 "가능성이야 항상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